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d라이브러리
"
의사
"(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좌뇌 측두엽과 두정엽이 만나는 자리에 놓여있다. 그런데 언어는 상당히 추상적인
의사
소통 수단이다. 우리가 대화를 통해 이야기를 주고받으려면 나와 상대자의 기억과 상상력, 서로의 입장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즉 자기투영 능력이 없으면 대화는 불가능하다.뉴질랜드 오클랜드대 ... ...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때문이었다는 걸 깨닫게 된다.한마디 더. 이 책을 읽은 소감을 트위터에 올리자 한 현직
의사
가 말을 건넸다. 주류의학에서는 이야기하지 않는 진화의학을 이야기해 눈여겨봤다는 내용이었다. 피부 속 엽산과 비타민 D를 파괴하는 자외선을 막기 위해 멜라닌을 발달시켰고, 그 결과 피부색이 위도에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경쟁력의 바탕인 것이다. 또한 전혀 다른 배경을 갖고 있는
의사
들과의 협력 연구와
의사
소통 경험은 문과와 이과의 융합이 필요한 현대에 매우 중요하다. 필자가 조교수로 재직 중인 가톨릭대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는 물론이고, 사회에서 만나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협력하는 데 중요한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민주주의’는 벌의 이런 행태를 집단지능의 한 예로 소개하고 있다.이 책은 꿀벌의
의사
결정 과정을 고된 생물학 실험과정과 함께 소개한 과학책이다. 지식이나 결론 자체보다도 실험과 관찰을 한 과정이 흥미롭다. 만약 꿀벌의 행태 자체에 대해 좀더 쉽고 친숙하게 설명한 책을 원한다면 위르겐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쥐 그리고 식물을 함께 병에 넣고 얼마나 살 수 있는지 관찰한다.1778년 오스트리아의
의사
였던 잉겐하우스(Jan Ingenhousz)가 프리스틀리의 실험을 다시 재현해 식물에 햇빛을 비춰주면 쥐가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1796년 세네비에르(Jean Senebier)는 녹색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소비하고 산소를 ... ...
내과
의사
'니아니 다 보이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혹시 다른 이상은 없을까요?”“글쎄요. 일단 검사를 더 해 봐야겠습니다.”내과 전문
의사
인 ‘니아니 다 보이오’는 간호사들에게 CT 촬영을 준비시켰다.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방금 전까지도 있었던 검사장비가 모두 사라진 게 아닌가.다섯 장의 X선 사진썰렁홈즈와 니아니 박사는 1901년 최초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유전자 치료를 받으면 나으실 수 있습니다.”30년 뒤, 대학병원의 신경과에서 환자와
의사
사이에 오갈 수도 있는 대화다. 앞으로는 사람의 유전자 염기 서열을 분석하는 것처럼 뇌의 여러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회로망을 분석해서 뇌의 이상을 알아내는 날이 올 것이다. 2000년대 초 ... ...
이야기 풍기는 봄꽃, 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변을 보고 나면 왕실 전용 병원인 전의감에 보냈어. 그러면 임금님의 건강을 책임지는
의사
가 임금님의 똥 농도와 색깔을 살펴봤지. 똥으로 임금님의 건강 상태를 알아 본 거야. 친구들도 앞으로는 자기가 눈 매화를 자세히 살펴보는 게 어때? 더럽다고? 그렇지 않아! 친구들의 매화는 건강을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람의 몸속에서 여러 차례 관절이 구부러지는 특수한 로봇 팔이라 싱글포트 시술
의사
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미래에는 결국 흉터가 적은 싱글포트와 노트 수술이 대세가 될 것”이라며 “두 수술의 최대 단점인 ‘수술이 너무 어렵다’는 점을 로봇으로 보조한다면, 수술이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신경증과 관련한 대목들이 눈길을 끈다. 한쪽 팔을 잃었는데도 그 팔에서 감각을 느끼는
의사
수족증 환자는 거울을 이용해 성한 팔을 반대 팔에 비춰 보여주면 증세가 낫는다. 저자는 이것이 성한 팔의 감각과 운동능력이 그렇지 못한 팔의 가짜 감각과 서로 충돌하면서 뇌가 혼란을 느꼈기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