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수학계에 산타가 나타났다!? 70년 만에 풀린 등각선 문제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발행하는 학술지로, 1874년부터 시작된 수학계 최고 학술지입니다. 현재는 1년에 약 50편 정도만 소개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자오 교수팀의 연구가 된 것이지요. 다음엔 또 어떤 난제가 풀려 수학계와 우리를 놀라게 할까요? 다음 크리스마스 선물이 기다려집니다 ... ...
- [이달의 우주 날씨]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내려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연출된답니다. 올해에는 12월 14일에 가장 잘 관측될 것으로 보여요. 극대기에는 시간당 약 150개(ZHR=150)의 유성이 떨어질 예정입니다. 과학동아천문대에서도 특별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으니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할말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보호종이 되기도 전에 절멸할지도 몰라! 노랑배청개구리를 지켜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되기도 전에 절멸을 하게 될 거예요.노랑배청개구리의 천적은 누구일까요? 새, 농약, 뱀, 황소개구리보다 더 무서운 게 바로 서식지를 파괴하는 인간이에요. 평화롭게 아무 걱정 없이 살던 개구리들이 집을 잃고 이곳을 떠나야 한다니…. 노랑배청개구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고민에 ... ...
- [과학뉴스] 코로나19 먹어서 치료하는 시대 오나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비독점적인 사용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11월 5일 미국 제약사 화이자는 홈페이지를 통해 경구용 항바이러스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코로나19 초기 환자의 입원과 사망 확률을 89%까지 줄여준다는 임상 2·3상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팍스로비드는 바이러스 증식 시 ... ...
- [과학뉴스] 고래는 생각보다 더 대식가였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북대서양참고래는 매일 5t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섭취했다. 둘 다 기존에 알려진 추정치를 약 3배 넘어서는 결과다.연구팀은 지난 200년간 고래의 대량학살로 개체 수가 줄어들면서 영양분 순환 생태계에도 문제가 생겼다고도 밝혔다. 고래의 먹이 활동은 바다 생태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래가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어두워지는 현상을 발견한 첫 사례였다. 영국 더럼대팀은 테스를 이용해 지구에서 약 1400광년 떨어진 백색왜성 쌍성계 ‘TW 픽토리스(Pictoris)’에서 이 현상을 관찰했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10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0-021-01494-x테스는 항성 앞을 지나는 외계행성이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메인스톤 교수는 실험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6번째 방울을 기준으로 피치의 점도는 물의 약 2500억 배인 것으로 추산됐다. 7번째 방울이 떨어진 뒤에는 피치가 떨어지는 속도가 줄었다. 연구팀은 에어컨 때문에 평균 기온이 달라진 영향으로 분석했다.1930년 실험을 시작한 이래 78년간 피치가 떨어지는 ... ...
- [과동키즈] 모두가 함께할 지구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된 기술을 말한다. 그중 Q-드럼은 1963년 건축가 한스 헨드릭스가 약 50L 가까운 물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든 도넛 모양의 운반기구다.소녀는 활짝 웃으며 이 도구 덕에 물을 가져오는 일이 훨씬 쉬워졌다고 연신 즐거워했다. Q-드럼은 적정기술의 대표적인 예라 많이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성능을 못 낼 수도 있다”며 “도산안창호함은 400여 개 항목을 시험했고, 결과를 토대로 약 150개 항목을 개선했다”고 말했다한국전기연구원은 이 과정에서 전기추친체의 모든 부품을 이해하고, 부품의 연결 과정을 꼼꼼히 시험했다. 특히 전기추진 선박에서 배터리만큼 중요한 것이 모터다. 손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크게 만드는 게 유리합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주 거울이 허블 우주망원경에 비해 약 2.5배 더 크게 만들어진 이유이지요. 동시에 망원경의 성능은 100배 높아졌어요. 집광력은 주 거울 면적의 제곱에 비례해 커지거든요. 지름이 2.5배 길어지면서 주 거울의 전체 면적이 6배 가까이 넓어졌고,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