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질병일 뿐입니다. 아드님이 당뇨나 암에 걸렸어도 이러셨겠습니까?” 갑자기 노신사가 신경질적으로 귓속을 수건으로 닦기 시작했다. 순간 그녀가 말해준 시아버지의 습관이 떠올랐다. “ ‘4’는 절대 안 돼요, 전화번호든 물건이든.” 무엇이든 ‘4’가 보이면 불호령이 떨어졌다. 깨끗함에 대한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EPA)의 벨리나 베로네시 박사는 자외선 차단제에 들어가는 산화티타늄나노입자가 뇌신경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미국 로체스터대 귄터 오베르되스터 교수는 프라이팬 코팅재로 흔히 쓰는 테플론(PTFE) 나노입자를 쥐가 15분 동안 마시게 했더니 4시간 만에 죽었다고 보고했다. 하워드 ...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그는 “81쌍의 부모를 조사한 결과, 부모의 52%가 ‘아이가 40℃미만의 열로도 심각한 신경학적 부작용을 겪을 것’이라고 응답했다”며 “무려 85%의 부모가 아이의 체온이 38.9℃가 되기도 전에 해열제를 먹인다”고 밝혔다. 발열공포라고 정의한 데서 알 수 있듯, 이런 우려는 사실과 거리가 멀다.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오늘은 모든 화성 탐사 대원에 대한 하우스 박사의 정기 건강검진이 있는 날이다. 내 차례가 오길 기다리다, 화성에 오는 도중 우주 공간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신체의 변화가 생각났다. 견디기 쉽지만은 않았던 그 순간의 당혹스러움과,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했던 하우스 박사의 놀라운 의술도.정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장소와 격자세포가 발견됐지만, 이는 단지 현상을 관찰한 것이다. 장소 정보처리를 위한 신경신호가 어떻게 생성되고, 장소와 격자세포가 장소 정보처리에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뇌 과학자뿐만 아니라 해부학자, 생리학자, 공학자, 컴퓨터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가 필요한 이유다 ...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높이고 뇌신경 전달물질의 측정 성능을 높인다.이 기술은 현재 미국 메이요병원 신경외과 캔달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저도 바보가 됐나 봅니다.”현대인이 정말 바보가 돼가고 있다면 원인은 무엇일까. 신경학자와 정신의학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을 꼽고 있다. 특히 검색의 대명사, ‘구글’이 주범으로 꼽힌다.이 주장의 선봉장은 독일 울름대 의대의 만프레드 슈피처 교수(정신병원장)다. 그는 2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근육이 모여 있어서 표정 을 관리한다. 이 43개의 얼굴 근육은 모두 제7뇌신경(일명 얼굴신경)의 관장 을 받는다. 43개의 근육들이 각기 수축과 이완을 달리하면서 이루는 표정의 경우의 수는 무수히 많다. 수축과 이완의 두 경우만 생각해도 243개의 표정 이 가능해지며, 부분 수축, 부분 이완까지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한다. 이 때도 물을 사용해선 안 된다.병이 말기로 진행하면 호흡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세포가 죽는다. 호흡근마저 마비 증상을 보인다. 호흡곤란이 심해지면 인공호흡기에 의지한다. 대부분 발병한 지 3~5년이 되는 시점. 박승일씨나 스티븐 호킹처럼 장기간 투병하는 환자도 있지만, 많은 환자가 이 ...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교수팀은 지렁이가 전진하는 데 있어 부분적인 신체의 특성과 마찰면에 반응하는 신경들의 역할이 예상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이 가설을 바탕으로 지렁이의 몸이 수많은 부분들의 상호작용으로 움직인다고 설명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그 후, 연구팀은 수학 모델을 토대로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