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모든 악어, 많은 거북, 일부 도마뱀의 성은 부화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은 모두
수정
란을 낳아 외부에서 부화가 이뤄지는데, 약간의 온도 차이에도 성이 바뀜으로써 전체적으로 성비가 크게 차이가 난다.바다거북이 30-35℃에서 부화하면 모두 암컷이 되고 이보다 낮은 20-22℃에서 부화하면 모두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생성된다. 때문에 혈관연구에는 달걀(
수정
란)을 이용한다. 김 교수는 개당 2-3백원 하는
수정
란의 껍질을 조금만 벗겨내면 혈관의 생성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그런데 김 교수에게는 이같은 연구과정에서 새벽까지 함께 고민했던 연구의 동반자가 있었다. 그가 바로 고신대 의대 박병채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주행성 동물들에 비해 훨씬 앞으로 튀어나와 있어 외부와 닿는 표면적이 넓다. 따라서
수정
체가 빛을 더 많이 모을 수 있다.고양이 눈의 홍채는 사람에 비해 더 많이 수축하고 이완될 수 있기 때문에 동공도 훨씬 크게 열린다. 이렇게 야행성 동물의 눈은 빛을 많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됐기 ... ...
노안 부르는
수정
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다.한편 라식수술을 할 때 각막을 다초점렌즈처럼 깎아내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수정
체뿐만 아니라 각막역시 눈에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각막을 부분마다 다른 두께로 깎아내면 먼 거리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의 상이 모두 망막에 잘맺히게 된다 ... ...
줄기세포로 난자 만드는데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진행한 쉘러 박사조차도“줄기세포로 만든난자가 모든 기능을 갖고 있고 정상적으로
수정
될 수있는지는 아직 증명되지는 않았다”며“이 기술이 인간의 불임치료에는 적용되지 않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
보석 일상생활에서 첨단기기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유지하기 위해서도, 컴퓨터처럼 정밀하게 주파수를 통제하기 위한 많은 전자장비에도
수정
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점 없애는 루비 레이저보석은 레이저와 같은 첨단기기를 제작하는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최초의 레이저는 루비를 사용해 만들었다. 산화알루미늄 결정에 크롬이 불순물로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도법으로 그린 지도를 고위도지방에 위치하는 대륙의 왜곡을 작게 하기 위해 단열하여
수정
한 도법 시뉴소이드 도법은 적도와 중앙경선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거리와 각도의 왜곡이 커진다 그러므로 지도가 전체적으로 정확한 면적 · 모양 · 거리를 나타내도록 대륙을 지나는 몇개의 중앙경선을 ... ...
폐암 감지하는 전자코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증가한다. 이때 기체 종류에 따라 미세한 차이로 질량 변화가 이뤄지는데, 그 결과
수정
의 떨림 정도가 측정가능할 정도로 달라진다. 바로 이 떨림을 측정함으로써 폐암 환자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35명의 폐암환자를 포함한 60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했다. 각 테스트에는 약 1분 ... ...
남녀의 두뇌 차이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발표했다.연구팀은 록펠러대에서 암컷과 수컷 염색체를 모두 갖는 세포를 2개의 정자와
수정
시켜 만든 핀치(Taeniopygia guttata)를 연구했다. 이 핀치의 몸 오른쪽은 남성 염색체를, 왼쪽은 여성 염색체를 지닌 세포로 돼 있으며, 생식기관인 정소와 난소도 하나씩 갖고 있다. 겉모습 또한 오른쪽과 왼쪽이 ... ...
베트남전 고엽제 다이옥신 공식발표의 4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많은 양의 고엽제가 살포됐는지를 추정한 결과를 발표했다.1974년의 추정치를 전면 재
수정
하는 이번 연구는 미 컬럼비아대 진 메이거 스텔만 박사팀에 의해 이뤄졌다. 스텔만 박사 연구팀은 미 정부의 의뢰를 받아 지난 5년 간 베트남전 고엽제 사용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했다.연구팀은 종전에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