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팀
재주꾼
재줏군
수재
축구선수
축구
명수
d라이브러리
"
선수
"(으)로 총 1,402건 검색되었습니다.
4. 화면색과 실제 색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일이 생길까.RGB와 CMY화면상으로 보는 환자의 얼굴 색이나 옷의 색깔, TV에 비춰진 축구
선수
의 유니폼 색깔 등은 모두 빨간색(Red), 초록색(Green), 파란색(Blue)의 3가지 색이 혼합된 것이다. 이 3가지색 즉 RGB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면 많은 다른 색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을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검사하는 것도 소변 속에 이들의 대사물질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같은 이치로 운동
선수
가 금지된 약물을 복용했는지의 여부도 소변으로 알아낼 수 있다.한편 체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물질도 그 작용을 마치거나 여분의 것이 생기면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임신을 하면 태반에서 HCG(human chorionic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꿈꾸며 그 날이 오기를 손꼽아 기다렸다. 그런데 불과 한달을 앞두고 러시아가 또
선수
를 친 것이다.원숭이 대신 개미국에서 머큐리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는 첩보를 입수한 러시아의 수상 흐루시초프는 스푸트니크에 이어 다시 한번 미국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어주고 싶었다. 그래서 늦었지만 1958년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나일론은 이전보다 물 흡수가 적어 호평을 받았지만 신축성이 한 방향으로만 주어져
선수
들에게 좋은 착용감을 주지는 못했다. 이 후 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나일론과 폴리우레탄사를 혼합해 가로 세로 모두 늘어나는 소재가 개발됐다.수영복에서 중요한 것은 수영복 자체가 물의 저항을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사람에 따라 또는 감염한 바이러스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아마도 그 농구
선수
의 에이즈가 그런 행운의 경우인지도 모른다.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에이즈 바이러스가 이미 사람을 공격하는 강도를 낮추어 사람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터득하는 방향으로 진화되고 있다고도 볼 수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밴가드(선봉이란 뜻)계획을 수립했다. 그런데 밴가드로켓을 개발하기도 전에 러시아가
선수
를 쳐 스푸트니크 1호를 지구궤도에 올려놓았던 것이다.최초의 밴가드로켓은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지 두달 후인 1957년 12월 6일에 시험발사됐다. 그러나 너무 서둔 탓인지 밴가드로켓은 2초 만에 1m 가량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결합하는 의료진단 시스템의 개발을 꿈꾼다. 러시아인들은 키를리안 사진기로 운동
선수
의 대사활동을 점검하여 훈련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이른바 정신과학 연구진들이 손가락 끝을 키를리안 사진으로 촬영하면 인체의 건강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공간으로 나가려면 얼마나 빠른 속도로 던져야 할까? 초속 11km를 넘기면 가능하다(박찬호
선수
가 던지는 야구공의 속도보다 2백50배 이상 빠른 속도다). 이 속도가 바로 지구 중력을 이겨낼 수 있는 탈출 속도가 된다.어떤 천체에서의 탈출속도는 그 천체의 질량이 크면 클수록, 같은 질량이라면 ... ...
유체의 흐름 탐구하는 공기역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박찬호
선수
던졌습니다. 스트라익! 헛스윙입니다. 낙차 큰 커브볼에 꼼짝없이 속고 마는 메이저리그 강타자들입니다.” 박찬호의 경기를 중계하는 스포츠캐스터의 흥분된 목소리다. 과연 무엇이 어떻기에 커브볼은 이상한 궤적을 그리며 타자들을 현혹시킬 수 있는가. 그리고 축구의 바나나킥의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조리개를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고감도 필름을 사용해야 한다. 그 결과 신문에 찍힌 권투
선수
사진의 질감은 거칠게 드러나게 마련이다.반대로 저감도 필름으로 촬영한 경우 사진의 입자가 곱고 선명하다. 표현할 수 있는 색상도 매우 풍부하다. 따라서 얼굴 표정과 같은 세밀한 부분을 묘사하고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