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그리는 디자이너가 연구실에 있다고요?”로봇 기사를 준비하던 지난해 12월, 기자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규진 교수에게 반문했어요. 논문이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의 표지를 장식했는데, 표지 그림을 연구실 소속 송정률 디자이너가 그렸다고 말해서였죠. 심지어 조 교수는 ... ...
- [그래도지구는돈당 기호2 김교수]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5%현재 20대 국회에는 문미옥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신용현 민생당 의원, 오세정 서울대 총장 등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영입돼 과학기술계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과학기술 정책 법안을 발의하는 등 활발히 활동해왔다. 그럼에도 소속 정당의 상황, 정치 신인의 한계, 뿌리 깊은 정치계 관행 등 ... ...
- [가르친당 기호4 쌤킴] 백년대계 지름길은 과학 공교육 강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있다”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사에게 기회가 제공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일반중학교 과학교사인 E 씨는 “우수 과학교사 선발제 등을 마련해 과학교육과 문화를 나누는 미국과학진흥회(AAAS) 연례회의나 국제우주대회(IAC) 등과 같은 과학계 주요 행사에 참여하는 기회도 ... ...
- [과학동아X긱블] 지난겨울 시작된 '레게노'스토리,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각 부위가 움직이게 됩니다.마지막으로 붕어빵 틀은 3D 프린터로 붕어빵 모형을 만든 뒤, 서울 왕십리의 주물 공장을 찾아가 알루미늄 틀로 완성했습니다. 이제 작품은 얼추 완성됐고, 코딩하기에 앞서 직접 붕어빵을 먼저 만들어 보기로 합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원정대 중에서 붕어빵을 구워본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관을 흐르는 기체의 속도와 양을 조절하면 플라스마의 길이와 두께도 바꿀 수 있었지요.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김곤호교수는 “플라스마제트는 로봇의 기억장치를 만드는 반도체를 만들 때도 사용한다”며 “플라스마의 쓰임은 다양하다”고 말했어요. _INTERVIEW 유석재(국가핵융합연구소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있고, 그 속도가 너무 빨라서 정확하게 계산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윤성철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관측 가능한 우주는 시간이 갈수록 커진다”며, “과학자들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밖에 또 다른 우주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얘기’라는 평가로 귀결되기를 바랄 뿐이다. ※필자소개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2012년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2018년 10월 31일자에 실렸다. doi: 10.1021/jacs.8b09037현재 서 교수는 삼성창원병원 이비인후과, 서울아산병원 안과 등과 공동으로 암, 노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찾고, 이를 이용해 암세포를 바로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서 교수는 “변이가 일어난 세포를 하나씩 선별할 수 있다면 ... ...
- 잠 잘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곳은 해가 지는 늦은 시간이 되어야 문을 열어요.오늘의 실험 참가자인 전다은 학생(서울 서초초)과 권태영 학생(서울 잠원초)이 침대가 놓인 수면실에 들어서자, 의사 선생님들이 친구들의 몸에 다양한 전자기기를 붙이기 시작했어요. 잠이 들면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몸에 ... ...
- [방학출동! 기자단2] 오감으로 느끼는 숲과 바다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표현된 숲과 나무, 꽃이 세상과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큰 창을 통해 바라본 서울의 모습이 도시 빌딩숲이고, 그 안을 바삐 움직이는 사람들이 꽃처럼 느껴졌다”고 소감을 전했어요. 아름다운 바다에 꽃이 핀다면팀보타 숲의 아름다운 꽃이 바다에도 피었다는 소식에 기자단 친구들은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