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기능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굉장히 어렵게 아이를 갖게 된 분이 있어요. 지금도 아기 사진을 가끔 카카오 톡으로 보내주세요. 너무 감사하죠. 과동 : 불임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앞으로 어떤 연구가 더 필요할까요? 찬 시험관 아기가 성공하려면 첫째는 건강한 배아가 ...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대표적인 2차원 물질인 그래핀은 한때 ‘꿈의 소재’로 불리며 디스플레이와 배터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연구돼 왔다. 그런데 그래핀을 소재가 아닌 전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는 과학자가 있다. 2월 4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물질 양자소자 연구실에서 만난 김영욱 신물질과학전공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지금으로부터 과거인 2020년.한국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들이 살고 있었다! ‘밀입국자’라 불리는 그들은 누구인가! 우리 주변에 초대받지 못한 존재들이정체를 숨긴 채 살아가고 있다! 최고 수준의 공학 지식과 코딩 실력을 갖춘 천재 공학자 한태술(조승우)은 혁신적인 성과를 쏟아내며 ...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한 TV프로그램에서 물멍(물 보며 멍하게 있기)이 취미인 배우를 본 후 스트레스 해소에 ‘딱’이라고 생각한 하비맨. 물고기를 키우기는 조금 겁이 나서 동글동글 마리모 키우기에 도전했다! ※ 편집자 주취미를 묻는 질문에 언제나 ‘독서’라고 답하는 독자를 위해 다양한 취미를 소개한다. ... ...
- 코로나19도 막을 수 없는 열정 마스크 쓰고 파이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2019년 뜨거운 관심 속에 ‘파이데이에 수학동아가 간다!’ 행사를 진행했죠. 그해 10월에 입사한 김 기자는 2019년 4월호에 실린 파이데이 행사 기사를 읽으며 202 ... 착용도 잊지 않았답니다! 그럼 세종과 학예술영재학교 학생들이 열심히 준비한 파이데이의 모습을 사진으로 확인해볼까요 ...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목적지로 가는 중 등장하는 장애물을 피하는 동시에 갑자기 출현하는 몬스터의 사진을 찍어야 합니다. 플레이어가 배를 조작하는 과정은 개발사에 전송되며, 치매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치매는 뇌의 인지기능이 저하돼 일상생활을 영위하지 못하게 되는 질병입니다. 씨 히어로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편집자 주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을 통해 자신의 예술 분야를 확장하고 있는아티스트 세 명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나를 뮤지션 박새별로 만나는 사람들은 “어떻게 음악을 하면서 공대에서 연구를 해요?”라는 질문을 하고, 대학원에서 연구자로서 만나는 사람들은 “박사과 ... ...
- [특집] 과학법정 열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내 데이터로 기업만 돈을 버나요?Part4. [과학법정] 우주 자원, 소유권 전쟁! ★ 도움 및 사진최경진(가천대학교 법과대학 교수),임소연(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손승우(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교수),민세희(서강대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과 교수),김한택(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퍼진다. 김 작가는 “모스나바를 구상하기 위해 거리에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보면 사진을 찍고, 식물 앱으로 어떤 식물인지 바로 검색했다”고 답했다. 김 작가는 “소설의 선공개 버전을 쓸 때는 ‘환삼덩굴’을 모델로 모스나바를 만들어냈으나, 추가 자료조사에서 외관 이미지는 ...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읽고 응모했던 기억도 난다. Q3 과학동아를 통해 얻은 것이 있다면?글과 그림, 사진을 통해 관심 있는 정보를 접하다 보니 더 넓은 세상의 더 많은 기회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이 생겼다. 실제로 하나둘씩 시도하다 보니 상상 속 일을 실현해내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었다. Q4 사회공헌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