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AI를 이루는 알고리듬 곳곳에 윤리 기준을 반영하는 기술을 넣는 것이죠.AI와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이준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님은 2월 4일 온라인으로 열린 ‘이루다 사건으로 본 인공지능 거버넌스: AI의 일탈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좌담회에서 가장 먼저 ‘설명 가능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3개의 회전 대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전 대칭의 특징은 각도를 더하면 대칭이동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정삼각형을 시계방향으로 먼저 120° 돌리고 그 후 다시 120° 돌리는 것은 한 번에 240°를 돌리는 것과 같은 대칭이동입니다. 비슷하게 먼저 240°를 돌리고, 그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9 전파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연구팀은 지난해 1월 20일부터 3월 27일 사이 코로나19 환자 5706명이 다른 사람과 접촉한 5만 9073건의 사례를 나이대 별로 분석해 전파 확률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9세 미만 소아 환자의 접촉 사례 가운데 5%만이 추가 감염으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 전자레인지로 속도 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마루, 혹은 골이 위치했던 흔적입니다. 패인 부분 사이의 길이를 재면 마루와 골 사이의 거리(반파장)를 알 수 있죠. 이 거리의 두 배가 곧 전자기파의 파장입니다. 자, 이제 앞에서 소개한 공식에 파장과 주파수 값을 넣고 계산하면 빛의 속도를 알 수 있겠죠? 과학동아의 계산 결과는 3.7×108 m/s,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할 사안이 많고 복잡하다. 요구되는 공정함이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하는지 사람들 사이의 직관이 쉽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는 문제도 있다. 다만 표현의 자유가 다른 모든 사회적 가치를 희생하면서까지 반드시 지켜야 할 절대적 가치는 아니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너구리 6마리가 태어났다.하지만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어미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새끼 너구리가 사람에게 납치된 뒤 구조센터에 왔다. 어미를 잃고 버려진 것으로 오인해 안타까운 마음에 한 행동이었지만, 이 때문에 이들 너구리 6마리는 영영 어미에게 돌아갈 수 없게 됐다. 사람에 대한 ... ...
- [특집] 숫자로 보는 무인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황금빛 모래사장이 드넓게 펼쳐지고 바닷물이 반짝이는 멋진 섬이었어요. 키가 큰 나무와 우거진 풀숲 사이로 원숭이들이 뛰어다녔어요. 풍경 감상도 잠시, 나조아가 말했어요. “이렇게 멋진 곳에서 일주일을 보내다니 너무 좋다! 내가 이곳 무인도에 대한 정보를 준비해 왔어 ...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집 지을 곳까지 끙끙대며 짊어지고 와야 해요. 이것만 해도 이틀이 훌쩍 지나요. 사이사이 먹을 것도 구하고 불도 관리해야 하고요. 언젠가 해변에 오두막을 짓고 잔 적이 있어요. 그런데 한밤중에 뭔가가 제 다리를 자꾸 꼬집는 거예요. 온몸이 오싹해서 벌떡 일어났어요. 조명을 켜고 보니 온 집에 ...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알래스칸 맬러뮤트의 귀는 끝이 살짝 둥글며, 양 귀 사이의 간격이 시베리안 허스키보다 먼 것이 특징이에요. 또 파란색, 갈색 눈을 지닌 시베리안 허스키와 달리, 맬러뮤트의 눈 색깔은 갈색으로 한 가지예요. 꼬리는 여우처럼 위로 말아 올려있어 축 쳐진 시베리안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세계에서 제일 강한 구슬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Games’는 네오디뮴 자석으로 가속기를 만들었어요. 네모난 자석들을 두 줄로 나열해 그 사이에 레일을 두고, 구슬 모양의 자석을 레일에 올렸죠. 그 순간 자석이 엄청 빠른 속도로 발사됐어요. 이 힘으로 다른 구슬을 쳐 장애물을 쓰러뜨렸답니다! SNS에서 눈오리를 봤나요? 눈오리 집게는 눈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