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한 뒤, 각 팔에 망사를 씌우고 갈고리처럼 생긴 핀 네 개를 달았다. 갈고리 핀은 두 로봇
사이
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로봇 6대를 두고 조도를 달리하자 로봇들은 서로 얽혀서 한 방향으로 이동했다. 이때 각 로봇의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해보니 군집 형태로 이동할 때가 개별적으로 이동할 때보다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이동속도는 매우 빨랐다. 특히 2019년 겨울에는 러시아의 북극에서 노르웨이와 그린란드
사이
의 프람해협으로 향하는 해빙의 표류 궤적이 직선 형태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2020년 7월에는 폴라스턴호가 정박해 있던 부빙이 붕괴하기에 이르렀고, 우리는 다른 부빙을 찾아 조금 더 북쪽으로 이동해야만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9 전파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연구팀은 지난해 1월 20일부터 3월 27일
사이
코로나19 환자 5706명이 다른 사람과 접촉한 5만 9073건의 사례를 나이대 별로 분석해 전파 확률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9세 미만 소아 환자의 접촉 사례 가운데 5%만이 추가 감염으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할 사안이 많고 복잡하다. 요구되는 공정함이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하는지 사람들
사이
의 직관이 쉽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는 문제도 있다. 다만 표현의 자유가 다른 모든 사회적 가치를 희생하면서까지 반드시 지켜야 할 절대적 가치는 아니다.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화훼연구팀 부팀장이 설명했다. 온실 내부에서는 이미 꽃을 만개한 형형색색의 장미들
사이
에 생전 처음 보는 장미가 눈에 띄었다. 내 손에서 탄생하는 신품종흔히 대부분의 장미가 야생에서 태어난 품종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현재 화훼농가에서 재배되는 대부분의 장미 ... ...
[특집] 미션2. 나뭇가지로 집을 지어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고독한 분할법으로 빵 바구니를 나눠 가진 삼총사는 이제 두 번째 편지를 열었어요. 두 번째 편지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있었어요.먹거리 문제를 해 ... 벽을 촘촘하게 채울수록 바람을 막기 좋아요. 마지막으로 나뭇잎을 이용해 나뭇가지
사이
를 메워줍니다. ▲이미지를 크게 보려면 PDF를 ...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문제’가 발생했죠. 그렇게 인공신경망은 다시 두 번째 어려움을 맞았습니다. 하지만 그
사이
컴퓨터 하드웨어의 성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복잡한 신경망에서도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됐어요. 2006년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는 ‘깊은 사고 학습 네트워크를 위한 빠른 학습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AI를 이루는 알고리듬 곳곳에 윤리 기준을 반영하는 기술을 넣는 것이죠.AI와 사람
사이
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이준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님은 2월 4일 온라인으로 열린 ‘이루다 사건으로 본 인공지능 거버넌스: AI의 일탈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좌담회에서 가장 먼저 ‘설명 가능한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R)의 제곱으로 나눠 구하고 구심력은 질량에 물체의 속도(v) 두 번 곱한 뒤, 두 물체
사이
의 거리(R)로 나눠 구합니다. 두 값이 같아져야 계속 원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두 식을 같다고 두면, 인공위성의 질량은 소거되고 중력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이므로 인공위성 속도의 제곱은 지구와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어려움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 추출한 에너지를 지구로 옮기기엔 지구와 블랙홀
사이
의 거리가 너무 멀다. 블랙홀의 크기가 태양계 전체보다 큰 만큼 이를 둘러싸는 구조물을 만드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이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하는 이론을 연구하고 실험하는 이유는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