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같다. 어쩌면 핀키엘스테인 교수님이 계셨으면 불가능했을 수도 있는 일이었다. 그렇게 모든 데이터를 쭉 같이 살펴보다가 모순된 데이터를 하나 찾을 수 있었다. 한 논문에서 고토 박사와 핀키엘스테인 교수님은 PER 단백질이 p53 단백질을 안정화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해 PER 단백질의 ... ...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뛰어나다. 소유권을 바꾸려면 변경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흩어져 있는 모든 장부의 정보를 수정해야 한다. 그렇다 보니 위조, 복제, 파괴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료를 블록체인으로 판매할 경우, 생산 뒤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기까지 재료 생산공장, 식품 제조공장,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상대적으로 적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집중된 서버만 해킹해도 연결된 모든 기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는 개별적인 장치에 대한 보안으로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경쟁도 뜨겁다. 인텔과 퀄컴, 엔비디아 등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알 세 개를 둥지에서 꺼냈다. 어미 수리부엉이가 어딘가에서 이 모든 과정을 지켜보고 가슴 아파하리라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다.어미는 겨우내 비어 있던 공사장을 둥지로 삼았다. 절벽의 바위틈이나 산림절개면의 평평한 곳에 둥지를 짓는데, 안타깝게도 잠시 ... ...
- [이달의 책]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직접 그린 일러스트와 함께 전체적인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점이 인상적이다.그는 모든 수학적 개념을 단 10개의 논리 기호로 표현할 수 있다고 말하며 수학을 어렵게 느끼는 독자들을 달콤하게 유혹한다. 단순한 계산이나 시험을 위한 수학이 아닌, 수학 본연의 즐거움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을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마찬가지입니다. 구형의 지구를 평면으로 옮기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어요. 하지만 모든 방법에서 지도의 땅이 실제와 달라보이는 왜곡이 생기죠. 연구팀은 새 지도를 만들기 위해 종이를 지구본에 맞닿게 두고 그리는 평면도법을 이용했어요. 면적, 형태, 거리를 각각 일정하게 유지하는 세 종류의 ... ...
- [기획] 지구를 위한 경영, ‘진짜’ 해결책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한다냥! 휴대폰, 모두 재활용품으로 만든다면? 2월 24일, 애플 CEO 팀 쿡은 “앞으로 모든 제품을 재활용 재료로 만들겠다”고 밝혔어요. 애플은 2018 년 아이폰 분해 로봇 ‘데이지’를 공개해 부품을 재활 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적이 있어요. 이는 스마트 폰 등에서 쓰이는 리튬이온전지의 주재료 ... ...
- [기획] 가짜뉴스, 너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정보 이용자들이 사실로 오인하도록 생산, 유포된 모든 정보’를 의미합니다. 박아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연구팀 책임연구위원은 “가짜뉴스가 사회적 이슈가 된 초창기에는 기사의 형태를 갖춘 대상만 가짜뉴스라고 봤지만, 점차 기사 유형이 ... ...
- [매스크래프트] #19. 공평하지 않은 승부차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가장 먼저 리그전 형식의 조별 예선을 거쳐야 해요. 리그전이란 한 팀이 그 조에 속한 모든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을 말하죠. 이번 조별 리그에는 4개 팀씩 4개조로 총 16개국이 참여합니다. 조별로 경기를 치른 후 각 조에서 1등과 2등을 한 팀이 8강에 진출하죠. 이때 등수는 승점에 따라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9화. 상반기 결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수학 혹은 통계, 컴퓨터공학 등 관련 분야의 박사학위를 받아야 합니다. 현실적으로 모든 수학박사가 대학교 교수가 될 순 없습니다. 이렇게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교수 혹은 전임 연구원이 되지 못한 신진 연구자들을 박사후연구원이라고 부릅니다. 말 그대로 박사과정이 끝난 뒤의 연구원이라는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