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원인은 바다의 수온 상승이다.한반도 근해로 흘러드는 따뜻한 바닷물의 원류는 필리핀
근처
의 따뜻한 물덩어리(웜풀)다. 웜풀에서 시작한 쿠로시오 난류가 우리나라의 해양환경과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해류는 대한해협을 지나는데, 한국해양연구원 대양열대해역연구사업단이 이 ... ...
비틀린 목성 고리, 비밀은 태양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안쪽에 먼지와 암석 조각으로 이뤄진, 후광처럼 희미한 고리가 있고, 메티스의 공전 궤도
근처
에 주(主) 고리가 있다. 마지막으로 목성에서 4번째로 가까운 위성인 ‘테베’의 공전 궤도 안쪽에 거미줄처럼 미세한 고리가 있다.목성 고리는 토성 고리에 비해 매우 희미해 관측하기 어렵지만, 토성 ... ...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급성 위장염형으로 크게 나눈다 봄철 북쪽 하늘의 별자리 3월경 초저녁에 머리 위
근처
에 나타나는 별자리로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J 헤벨리우스가 신설한 것이다삼각근이 섬유화되어 단축되는 병 삼각근구축증(三角筋拘縮症)이라고도 한다주로 팔의 근육주사가 원인이다삼각근은 견관절(肩關節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 사고로 9명이 숨지고 10여 명이 다쳤다.이날 사고는 날씨가 나쁘지 않아 사고지역
근처
에 있던 사람들이 전혀 사고에 대비하지 못해 피해가 컸다. 바닷물이 썰물처럼 한꺼번에 빠졌다가 5m 높이의 큰 파도로 갑자기 밀려들었다는 게 목격자들의 증언이다.날씨가 나쁘지 않았는데 어떻게 그렇게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공기와의 마찰로 속력이 줄어드는 순간이다.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온 공이 축구 골대
근처
에 도달할 때쯤이면 무회전 공의 소용돌이는 더욱 세차게 꼬리를 흔들어 골키퍼를 당황하게 만든다.이런 현상은 야구에도 있다. ‘너클볼’이라고 불리는 무회전 야구공도 역시 타자에 다가갈수록 ... ...
“꼭꼭 숨어라 집게발 보인다~” 소백산에서 희귀종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조사한 결과 사마귀게거미가 발견됐어요. 이번에 발견된 거미도 암컷이라서 수컷이
근처
에 있을 것으로 보고 조사를 계속하고 있지요.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는 사마귀게거미 말고도 천연기념물 7종류와 멸종위기야생동물 19종류가 살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느낌까지 들었다. 또 오리온대성운을 봤는데, 성운 속의 별무리 ‘트라페지움 성단’
근처
에서 무언가 활발한 움직임이 감지될 정도여서 이곳에서 별이 생겨나고 있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시리우스 짝별, 토성 고리 틈새 보며 감동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는 동반성(짝별)을 ... ...
우주여행 꿈꾸는 사람들의 무한경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커져로켓은 우주개발의 핵심 부품이다. 인공위성이든 우주비행체든 로켓이 없으면 우주
근처
에도 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난 50년 동안 석유를 정제한 연료(케로신)를 추진제로 사용한 액체로켓은 인류가 우주에 도전할 수 있게 한 일등공신이었다. 하지만 케로신을 사용하는 액체로켓은 엔진 한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워싱턴의 가톨릭대로 유학가서는 유기화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생물학 쪽은
근처
도 가지 않았던 이 교수가 어떻게 저명한 생명과학자가 됐을까. 과감한 가설 즐겨“학위를 마치고 인삼에 들어있는 약효성분 같은 천연물을 합성하는 연구를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지도 교수님이 당시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거리 45′(보름달이 1개 반 정도 들어갈 거리)로 접근한 뒤 자정 무렵 지평선 아래로 진다.
근처
천문대를 방문해 망원경으로 달과 화성의 조우를 카메라로 찍어보자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