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는 봄의 요정 나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겨울을 나는 종류도 있어요. 바람이 적고 낙엽이 쌓인 포근한 곳이나 오래된 나무의
구멍
안으로 겨울잠을 자고, 따뜻한 3월이 오면 일찌감치 날개를 펴고 날아다니지요.알에서 나온 애벌레는 식물의 잎을 먹으며 자라요. 그리고 성장을 위해서는 허물을 벗어야 하는데, 그 횟수에 따라 '령'으로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우리는 특이하게도 나뭇잎을 꿰매서 집을 만들거든. 나뭇잎의 가장자리에 부리로
구멍
을 뚫고 거미줄이나 식물 섬유를 이용해 꿰매면 아주 포근하고 안락한 집이 되지.베짜는새주로 아프리카에 살며 씨앗을 먹고 산다. 풀줄기나 식물 섬유를 사용해 나무에 매달린 둥지를 만든다. 많은 종류의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퇴치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모기가 가진 면역단백질 LRIM1과 APL1C는 말라리아균을 찾아
구멍
을 뚫어 죽이는 TEP1 단백질을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모기 몸속에 침입한 말라리아균의 약 90%를 죽인다. 모기가 사람을 물면 살아남은 10%의 말라리아균이 사람의 몸속으로 침입해 병을 일으키는 셈이다.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튀다 결국은 잠기는 게 고작인데, 설마 돌이 물에 뜰까. 부석을 쪼개 자세히 보면 빵처럼
구멍
이 숭숭 뚫려 있다. 어떻게 이런 돌이 만들어졌을까.탄산음료 병뚜껑을 따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음료수에 들어 있던 이산화탄소가 방울을 만들며 올라와 표면 위에 거품을 만든다. 마찬가지로 땅속에 녹아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연구자들은 “이상소두증 뇌는 정상 뇌에 비해 소뇌가 상대적으로 커 돌출해 있고 눈
구멍
표면이 좁고 납작하다”며 “LB1에서는 이런 특징이 없다”고 설명했다.호모 플로레시엔시스를 발견한 브라운 교수는 “LB1 말고도 대여섯 명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골격이 발견됐는데, 치아형태 같은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네 쌍의 수염이 있고, 눈은 퇴화해 흔적만 남았으며, 몸 옆면을 따라 여섯 개의 아가미
구멍
이 늘어서 있는 겉모습도 전형적인 장어류와는 거리가 멀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기체확산법으로 우라늄을 기체 화합물로 만든 뒤 미세한
구멍
이 뚫린 격막을 사이에 두고 확산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상대적으로 가벼운 우라늄235가 빨리 확산되는 점을 이용하면 우라늄235를 농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대규모 공장설비가 필요하고 전력소모가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지방과 함께 흡입하는 땀샘 흡입술이 많이 시술되고 있다. 이 방법은 겨드랑이에 작은
구멍
한두 개를 내 시술하기 때문에 흉터도 크게 남지 않고 입원할 필요가 없어 수술한 다음날부터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박 교수는 “더 간단한 방법으로는 겨드랑이에 보톡스를 주사해 땀을 분비시키는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반응시켜 석회성분과 규산성분을 모두 녹여 없애고 남은 유·무기 잔류물을 지름 10㎛의
구멍
이 송송 뚫린 체로 걸러낸다. 그 뒤 꽃가루 화석만 분리해 박편(현미경으로 보기 위해 얇게 만든 시료)을 제작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꽃가루 화석은 오늘날 살고 있는 식물의 꽃가루와 형태적인 특징을 ... ...
고강도 액체금속 개발한 청국장 마니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기체 분자들은 튕겨나가고 크기가 작은 수소 분자만 금속분리막 안에 확산되면서 미세한
구멍
을 통과한다. 결국 여러 기체들이 혼합된 공기에서 순도 100%인 수소만 추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하지만 금속이 수소를 흡수하면 구조가 변하면서 약해진다. 이런 현상은 결국 금속이 부식하는 원인이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