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순간이었다. ‘미술관이야? 연구실이야?’ 3월 16일 대전 KAIST에 있는 정재승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의 방에 들어섰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커다란 그림들이었다. 한쪽 벽에는 원색이 많은 추상미술 작품이, 다른 쪽에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리처드 파인만, 올리버 색스, 스티브 잡스 네 ... ...
- [과학뉴스] 그림자로 물체를 파악하는 법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사람이나 자동차 때문에 깜짝 놀랄 일이 없어질지 몰라요. 미국 보스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비백 고얄 박사 연구팀이 그림자로 모퉁이 뒤 물체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개발했거든요. 연구팀은 잠수함 안에서 밖을 내다보는 장치인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했어요. 잠망경 안에는 두 개의 거울이 있어요.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설명했다.이들 중 가장 대표적인 대안 주기율표는 ‘왼 방향 주기율표’다. 프랑스 공학자 샤를 자네가 1928년 발표한 왼 방향 주기율표는 기존 주기율표와 달리 수소가 주기율표의 맨 오른쪽에 있고, 여기서부터 주기율이 왼쪽으로 뻗어간다. 주기율표를 정리한 기준도 다르다. 기존 주기율표가 ... ...
- 질긴 바닷가재 배 보호막으로 고무 만들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만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밍 구워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미국 로브스터’로 불리는 ‘호마루스 아메리타누스(Homarus americanus)’에서 뱃살을 보호하는 막이 여러 층을 이룬 합판구조여서 고무처럼 신축성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액타 ... ...
- 스토브리그. 데이터를 보고 선수를 픽해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럼 어떤 투수가 가치가 있을까?2018년 7월 정우성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교수팀은 빅데이터를 이용해 승리에 도움을 주는 선발 투수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미국 야구팀 선발 투수의 공을 구종에 따라 분류한 뒤, 그 분류에 따라 어떤 투수가 팀 승리에 더 기여하는지 ... ...
- [과학뉴스] 로봇으로 환생한 오로베이츠 팝스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일, 독일 훔볼트대학교 존 니야카투라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생물학, 수의학, 로봇공학 등을 결합해 고생대에 살았던 동물 ‘오로베이츠 팝스티’의 걸음걸이를 복원했어요. 오로베이츠 팝스티는 약 2억 9000만 년 전, 고생대 페름기에 살았던 네발 동물로, 물에서 육지로 올라왔다고 알려져 ... ...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결국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가요. 이것이 ‘미세 플라스틱’이지요.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진영 박사팀은 ‘미세 플라스틱이 체내에 흡수되면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내용을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실험 물고기로 흔히 쓰이는 제브라피쉬에게 수십nm(나노미터. 1nm은 십억 분의 1m)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무래도 심상치 않아…. 왜 이런 일이 연달아 일어날까?” 백설공주님의 집에서 나오는 길에 꿀록 탐정이 되뇌었어요. 어깨에 앉아있던 개코 조수가 대답했어요. “아직 속단하긴 일러요. 사건은 겨우 두 번 일어났잖아요?” “둘 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누군가가 관련되어 있어. 할아버지의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검증하는 작업만 남았다. 뇌에 저장된 기억 복제, 가능할까이상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단기 기억은 해마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기억이 어떻게 쌓이고 사라지는지 완벽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며 “특히 장기기억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뇌 속 작동 과정은 상상 이상으로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만드는 등 가시적인 결과물들이 많이 나와서 재밌었다. 세 번째로 들은 수업은 컴퓨터공학 전공을 하려던 친구들의 마음을 돌려놓는다는, 악명 높은 시스템 수업이었다. 정말 매주 새벽까지 코딩을 해야 했다. 그렇지만 기초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수준 높은 과제들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