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여러 박테리아를 제거하지요. 박테리아 세포의 단백질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만들어 결국 박테리아가 죽게 되는 원리랍니다.◀ 염소는 옷의 얼룩을 지우는 표백제나 청소를 할 때 쓰는 제품에 사용된다.염소는 1900년대 초반에 식수를 살균하는 데 사용되었어요. 그리고 1920년 대에 수영장 물을 ... ...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있던 힘을 빼면 빨판 안으로 들어온 수분이 순간적으로 이동해 돌기 사이를 채우지요. 결국 물체와 빨판 사이는 빈 상태가 돼요. 즉, 진공상태가 되는 거지요. 그 결과, 빨판과 물체 사이에 강력한 흡인력이 생긴답니다.연구팀은 가로세로 3cm 길이의 고무판에 문어의 빨판과 똑같은 구조를 ...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벽을 따라 옆으로 흐르게 돼요. 그럼 물은 꺾이던 방향으로 계속 꺾이려고 하고, 결국 벽을 따라 되돌아가면서 물의 흐름이 원을 그리게 되지요.이때 이 지점에 서 있으면 소용돌이치는 물의 흐름에 따라 휩쓸리다가 단단한 벽에 부딪힐 수도 있어서 매우 위험하답니다. 따라서 강한 파도가 밀려오는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식할 경우 A의 사진을 계속해서 보여주면서 이것이 A라고 학습을 시키는 수밖에 없다. 결국 오류를 고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 이 오류가 완벽하게 해결됐는지 확인할 방법도 없다. 얼굴 인식 AI가 사생활을 침해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중국 정부는 13억 명이나 되는 전체 인구를 3초 만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없애면 노들 단백질이 오른쪽 세포들에까지 영향을 미쳐 결국 오른쪽이 없이 왼쪽만 있는 배아로 발달합니다(doi:10.1016/S0092-8674(00)81472-5). 노들이라는 하나의 단백질이 자신을 억제하는 단백질까지 함께 만들어 서로 다른 세포의 운명을 결정짓는 이 관계를 ‘반응 확산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보다 무섭게 생겼다”거나 “이보다 인상이 부드럽다”는 등 다른 평가가 나오고 결국 수정을 거쳐야 한다. ‘무섭게 생김’에도 사람마다 느끼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단번에 용의자의 얼굴을 완성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래서 3D 몽타주 시스템에는 ‘무서운’ ‘어리게 보이는’ ‘신뢰감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니지만, 중력과 지진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1999년에 사는 고백부부 주인공들은 결국 결혼을 하게 될까요? 이 내용까지는 차마 스포일러를 할 수가 없네요. 사실 과거의 부부가 결혼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평행우주론’ 가설에 따르면 주인공들이 결혼을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심장에서 살아 있는 일부분만 뛰면서 박동에 불균형이 생기고 결국엔 혈액 펌프질이 멈춥니다. 그 직전에 전기적인 쇼크를 주면 펌프질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항공기나 공항, 지하철역과 같은 시설에 의무적으로 구비된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이 경우 유용하게 쓰이죠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버려야만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결국 함께 협력하고 융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교육혁명과 의식혁명 병행돼야AI 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면 지금까지 인간만 누려왔던 영역들을 하나둘 빼앗기게 될까. 일각에서는 AI가 발전 할수록 인류가 예상치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다. 문제는 이 방정식이 너무 어려워 사람의 손으로는 절대 풀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컴퓨터의 힘을 빌려야 한다. 10년 개발한 프로그램, 연구용 무상 제공컴퓨터가 이 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적절한 풀이법이 필요하다. 심 교수는 “여러 가지 방법론이 있지만, 우리는 몬테카를로 기법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