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11
- 연구하던 중, 박막을 전자빔으로 때리자 N형이던 반도체가 P형으로 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마그네슘을 입힌 P형 질화갈륨 반도체를 얻는 데 성공한다. 연구팀은 마침내 1992년 최초의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아직 산업화에 한계가 있었다. 마그네슘이 문제였다. 정공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11
- 한다. 이렇게 인정받은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 연구팀은 이번에 새로 발견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스페인 북동부 카탈로니아 지방의 전통 소시지를 만드는 데 적용했다. 자연 발효시켜 얻은 소시지는 저지방, 저염분이라 건강에도 좋았고, 심지어 맛도 훌륭했다. 다만 아직까지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11
- 될지 누구도 알 수 없다. 최근에는 Y 염색체가 사라졌던 위치에서 새로운 염색체가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이 염색체가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여성성을 나타내는 X 염색체와 짝을 이루는 만큼 생식에 새로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다시 새로운 성(性)이 탄생하는 시작을 ... ...
- [과학뉴스] 미백화장품 성분, 알고보니 다이어트도과학동아 l201411
- 경우가 많다. 이런 지방이 많은 부분을 미백 화장품 성분으로 줄이는 기발한 방법이 발견됐다. 독일 본 의대 알렉산더 페이퍼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의 성과다.연구팀이 이용한 물질은 ‘아데노신’이다. 피부에 흡수될 경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해 자외선을 받더라도 피부가 검게 변하지 ...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과학동아 l201411
- 기록자의 이름, 즉 신종헌터의 이름도 함께 남는다는 것”이라며 “내가 2004년 발견한 새로운 박테리아 문(問)인 ‘렌티스페레’에는 늘 나의 성 ‘CHO(조)’가 따라붙는다”고 말했다.과학동아 카페는 과학 지식에 목마른 일반인과, 현장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과학자가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는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11
- 길을 찾는 인공지능 로봇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다.쥐와 사람 뇌에서 장소와 격자세포가 발견됐지만, 이는 단지 현상을 관찰한 것이다. 장소 정보처리를 위한 신경신호가 어떻게 생성되고, 장소와 격자세포가 장소 정보처리에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뇌 과학자뿐만 아니라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11
- 상동)을 짓고 있어 매우 안정돼 있다. 그러나 Y 몰락설은 여전히 유효하다. Y 염색체에서 발견된 핵심 유전자의 수가 아직 적기 때문이다. 그레이브즈 교수는 “현재는 Y 염색체 몰락이 잠시 소강상태에 머문 것에 불과하다”며 “두더지들쥐나 고슴도치 중에는 Y 염색체가 아예 없는 동물 종도 ... ...
- [불규칙적인 움직임] 여러분, 브라운 운동 멈추고 정렬하세요!과학동아 l201411
- ‘브라운 운동’입니다. 브라운 운동은 1827년 영국의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이 발견한 현상입니다. 잔잔한 물 위에 떠 있는 꽃가루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도중,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끊임없이 돌아 다니는 현상을 알게 됩니다. 당시 브라운은 꽃가루가 가진 생명력 때문에 움직인다고 ... ...
- 세상에서 가장 큰 공룡 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411
- 아르헨티나 남부에 있는 파타고니아 사막에서 공룡 7마리의 뼈로 짐작되는 뼈 150개를 발견한 것이지요. 연구팀은 이 뼈의 주인이 약 9500만 년~1억 년 전에 살았던 초식공룡 아르젠티노사우루스의 일종이며, 지구에서 가장 큰 육지동물이었을 거라고 설명했어요. 그 이유는 이 뼈들이 사람 키를 훌쩍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11
- 물리량이 19세기에 발견된 클리퍼드 수를 값으로 갖는다는 사실은 20세기 과학의 중요한 발견이었다.그라스만 수 복습 기하학에서 가장 중요한 수 체계는 실수 체계(R)다. 실수 집합을 직선 상의 점들로 생각하는 것이 수와 공간 사이의 기본 관계이기 때문이다. 거기에서 시작하면 n차원 공간을 실수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