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의대수
대수
뉴스
"
일의
"(으)로 총 53,13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먼지 7일까지 '나쁨'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다. 연합뉴스 제공 6일 수도권과 강원권 등을 덮친 미세먼지가 7일까지 짙을 전망이다. 6일 오전 11시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에 따르면 7일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권, 호남권의 미세먼지는 ‘나쁨’으로 예상된다. 미세먼지 예보등 ... ...
"개량백신 맞으면 치명률·중증화율 6분의 1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 대응자문위 위원장.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개량 백신을 접종받으면 기본 접종 완료한 경우에 비해 중증화률과 치명률이 약 6분의 1로 감소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개량백신은 오미크론 변이 유행 이후 추 ... ...
올해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김인호·윤철희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카길한림생명과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김인호(왼쪽) 단국대 교수와 윤철희 서울대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올해 카길한림생명과학상 수상자에 돼지 연구의 대가로 꼽히는 김인호 단국대 교수와 동물 면역학 전문가인 윤철희 서울대 교수가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카길애그리퓨리 ... ...
겹쳐서 빠르게 이동하는 적혈구 확인...영상 복원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물리적 통찰력을 갖춘 인공지능(AI)을 개발한 장무석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와 이찬석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KAIST 제공 3차원 공간에서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적혈구의 형태를 영상으로 복원하고 생체에서 조직 일부를 떼내 암을 진단하는 '생검' 영상을 정확히 복원하는 인공 ... ...
오픈AI 기술책임자 “챗GPT 악용 우려…규제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미라 무라티 오픈AI CTO. 트위터 캡처 전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미라 무라티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챗GPT의 악용 가능성과 규제 필요성을 언급했다. 무라티 CTO는 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지와 인터뷰에서 "챗GPT를 처음 내놓았을 ... ...
기상기후데이터 120종 실시간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기상청 API 허브 홈페이지. 기상청 제공 모든 기상기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국민 서비스가 시작된다. 기상청은 6일부터 기상기후데이터 제공서비스 ‘기상청 에이피아이(API) 허브’의 데이터 제공범위를 12개 분야 120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12개 분야 48종의 데이터만 ... ...
5명 실명‧1명 사망케 한 인공눈물…“국내 판매되지 않은 제품”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미국에서 녹농균 감염을 일으킨 인도 글로벌파마의 인공눈물 제품 에즈리케어. 글로벌파마 홈페이지 캡처 미국에서 실명 5명과 사망 1명을 유발한 인공눈물 제품이 국내에서 허가가 나거나 판매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5일 “일부 언론의 미국 녹농균 오염 안약 보도 ... ...
코로나 확진 5850명, 224일 만에 최소...위중증 289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코로나19 유행이 감소세에 접어든 가운데 3일 서울 용산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검사소가 대기자 없이 한산하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일 5850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 27일 3419명 이후 224일 만에 가장 적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 ...
[부고] 노관택 前 서울대병원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노관택 전 서울대병원장 별세, 최윤보 씨 남편상, 동영 강남차병원장·윤정·경주·동주 부친상=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 7일. 장지 서울 서초구 원지동 서울추모공원. 02-2027-2020 ...
"착용하면 눈앞에 내비게이션"…AR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눈앞에서 증강현실(AR) 구현 가능한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한 김하열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연구원, 정임두 UNIST 기계공학과 교수, 박서빈 UNIST 기계공학과 연구원(왼쪽부터). UNIST 제공 초미세 3D 프린팅 기술로 마이크로 패턴을 인쇄해 증강현실(AR)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 ... ...
이전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