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연구팀을 꾸려 독자적인 연구에 들어간 것이다. 4월 발표장에 참석했던 바이러스
학자
리덱신이 팀을 이끌었다. 씁쓸해진 유 교수는 그간의 연구결과를 논문으로 정리해 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에 투고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데 놀라운 소식을 듣게 된다. 중국 팀이 물량공세로 진행한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사람들로 하여금 지금 여기에 충실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
들이 있다(Brown & Ryan, 2003).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오래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마음을 비우기 위해 즐겨온 ‘산책’을 하며 눈 앞에 보이는 길, 나무와 풀에 집중해보거나 한 걸음 한 걸음이 만드는 발자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유입 메커니즘의 초신성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천문
학자
대니얼 카센은 지난 2010년 학술지 ‘천체물리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즉 동반성에서 물질 유입을 받은 백색왜성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경우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기억’이다. 많은 사건들이 실제 체험할 때보다 ‘기억’ 속에서 아름다움을 지적하는
학자
들이 있다. 경험 당시에는 즐겁기는 커녕 고생이 많았거나 위험천만했던 일일수록 훗날 떠올리면 ‘특별’하고 재미있었던 일로 추억되곤 한다. 경험은 순간이지만 그 기억은 오래 간직되며 필요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분야로 발길을 돌리는 여학생이 많다는 게 저자들의 결론이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심리
학자
캐롤 드웩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궁극적인 성공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즉 자기 능력을 정해진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고정된 사고방식)은 흥미를 억누르고 실수를 피하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다소 도발적인 제목의 서신이 실렸다. 독일 요하네스구텐베르크대 유기화학연구소의 화
학자
들은 서신에서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가 폴리에틸렌을 분해함을 입증한 실험에 결함이 많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즉 논문의 저자들이 주장하는 분해산물인 에틸렌글리콜의 경우 논문에서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가설은 태평양 해안을 따라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다는 내용이다. 인류
학자
와 과
학자
들은 현재 팀을 이뤄 태평양 지역의 옛 만과 하구 지역을 탐사하고 있다. 인디언들이 이동할 때 휴식처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연구진은 해저 침전물을 채취해 ‘해안 이주설’의 근거가 될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
2017.08.13
제공 따라서 결국 ‘감정 조절 능력’이 도움 행동을 불러오는 핵심 역할을 한다고 보는
학자
들이 있다(Panfile & Laible, 2012). 상대가 힘들어 하는 상황에서 도움을 주고 싶어도 같이 슬픔에 허우적거리거나 불안해지는 등 ‘본인’ 감정 조절이 잘 안 되는 경우, 자기가 괴로워져서 상대방을 위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은 그러나 소량 섭취할 경우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오늘날 영양
학자
들은 육류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의 비율을 높인 식단을 짜라고 강조한다. 식물화학물질이 독이 될 수도 있고 약이 될 수도 있는 건 이것들이 단순히 몸 안에서 소화돼 칼로리를 내는 영양분이 아님을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나선 구조를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여전히 과
학자
들은 긴 DNA가 어떻게 자신의 형태를 최대한 압축해 세포핵 안에서 작용하는지 명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였다. 클로다흐 오쉬 미국 솔크대 교수팀은 샌디에이고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와 공동으로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