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뉴스
"
방향
"(으)로 총 5,694건 검색되었습니다.
멍게 껍질로 만든 전자소자, 군사의류·스포츠웨어 등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3.11.21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와 전도성 고분자 물질(PEDOT:PSS)을 복합화해 분자 수준에서 한
방향
으로 고도로 정렬시켰다. 이를 통해 기계적 유연성과 우수한 전기·전기화학적 특성을 겸비한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고성능의 유연한 섬유형 전기화학 소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 ...
메타물질로 '열전소자' 신축성·전력생산량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1
설계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물질에 힘을 가해 가로
방향
으로 늘리면 세로
방향
은 줄어들지만, 메타물질은 가로를 늘리면 세로도 함께 늘어난다. 연구팀은 이러한 메타 구조를 가진 '개스킷'을 활용해 열전소자의 신축성을 최대 35%까지 높이는 데 성공했다. 개스킷은 가스나 물이 새지 ... ...
[주말N수학] 수학 강의로 감동 주는 손승연 강사의 인기 비결
수학동아
l
2023.11.18
방식을 모르면 성적에서 큰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그래서 조금만
방향
을 잡아주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에 수학 선생님을 꿈꿨어요. 수학 성적을 잘 받아서 좋은 대학에 간 후배들을 보며 너무 뿌듯하기도 했죠. 수학 싫어하는 학생들에게 수학의 재미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불가사리가 별 모양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11.18
뻗어 나가며 발현이 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꼬리 구조와 관련한 유전자들은 다섯
방향
의 끝쪽에서만 살짝 발현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불가사리는 양쪽 대칭을 이루는 동물들이 갖고 있는 몸통 부위에 해당하는 유전자는 매우 부족한 반면, 다른 동물의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유전자들은 많이 ... ...
[과기원NOW] KAIST, 21일 ‘6G 그랜드 써밋 2023’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17
17일 밝혔다. 국내외 6G 전문가들과 6G 주요 연구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미래 기술
방향
성을 토론하는 자리다. 6G 이동통신 기술은 2025년부터 표준화 작업을 시작해 2029년쯤 상용화될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 2019년에는 국내 최초 6G 산학연구센터인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가 설립됐다. 21일 ... ...
[사이언스게시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탄소중립 K-Tech'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17
변환 및 저장을 위한 융합클러스터는 신재생에너지 변환 기술의 특성 및 향후 발전
방향
을 고려한 ESS 설계를 향후 융합연구주제로 확립했다. 이들 클러스터의 활동이 우수한 평가를 받으면서 우수 융합클러스터로 지정됐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이 기초과학연구원(IBS)과 손잡고 ... ...
[나는1저자다] ②"과학자와 의사 택하라면 '과학자'…안정적 환경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1.16
배움의 과정으로서 즐거움을 여전히 갖고 있다. 주변에선 공부를 하던 중에 의대로
방향
을 바꾸는 사람도 여럿 봤다. 홍윤=중학생 때 '과학고를 가게 되면 과학자가 되고 일반고로 가게 되면 의사가 되어야지'하고 막연히 생각했는데, 정말 과학고를 가게 됐다. 사실 그렇게 연구의 길로 접어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5%로 낮추면 각질층의 수분이 휘발돼 건조해지며 수축한다. 그 결과 얇은 유리가 각질층
방향
으로 살짝 휘는데 그 정도로 변형력을 측정한다. 연구자들은 반인공 피부에 세정제 6개 제품과 보습제 9개 제품을 각각 처리한 뒤 건조 실험을 진행해 변형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피부는 세포 생존 ... ...
호르몬 전달하는 세포 속 '우편배달부'도 교통체증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15
바 없는 소포의 새로운 수송 특성도 확인됐다. 여러 소포가 함께 긴 거리를 동일한
방향
으로 이동하는 집단 수송 방식, 수송 중인 소포 뒤에 달라붙어 함께 이동하는 히치하이킹 수송 방식 등을 통해 세포 속 정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송 전략을 갖추고 있음을 밝혀냈다. 제1저자인 ... ...
[나는1저자다] ①"연구 트렌드에 안 흔들려야...현재 처우론 가정 꾸리기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3.11.14
싶은 후배들에게 이같이 당부했다. 학교를 떠나 연구 현장에 발을 딛으면 연구 주제나
방향
성이 흔들릴 수도 있는데, 처음 과학에 관심을 갖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인 ‘자신의 흥미’와 초심을 잊지 말라는 이야기다. KIST 첨단소재기술연구본부는 극한환경 조건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갖는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