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뉴스
"
도달
"(으)로 총 1,7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다만 밝기의 변동 폭이 큰 게 문제인데, 수백만 년에 걸쳐 점점 밝아지다가 최대치에
도달
한 뒤 뚝 떨어진다. 프리드먼 교수팀은 많은 적색거성을 관측해 밝기가 최대치에 이른 적색거성을 표준촛불로 써서 허블상수를 얻었다. 지난 16일 공개된 논문에 따르면(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에 실릴 ... ...
아인슈타인 이론, 먼 우주-블랙홀에서 다시 한번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그 결과 주변 및 블랙홀 기준으로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더 먼 별의 빛이 휘어 지구에
도달
하는 ‘중력렌즈’ 현상을 통해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한 결과와도 일치한다. 하지만 연구팀은 아직 더 먼 우주와 더 극한 환경을 대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게즈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 ...
韓美 공동연구진, 커패시터 크기 확 줄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안정적임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아직 국내외적으로 아무도
도달
하지 못한 초저유전 물질의 응력에 따른 유전 및 전기적 특성을 정량화하고 메커니즘을 규명한 첫 사례”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지난 12일 온라인판으로 발표됐다. ... ...
印 달 탐사선 '찬드라얀 2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찬드라얀2는 발사 후 23일간 지구 궤도를 돌다가 이후 7일간 달 궤도로 향한다. 달 궤도에
도달
하면 달을 13일간 돌다가 궤도선과 착륙선을 분리한다. 착륙선은 48일 차인 9월 6일 달의 남극에 있는 두 분화구 만지누스C와 심펠리우스N 사이에 내려앉을 예정이다. 달의 남극은 물이 풍부하고 일조량이 ... ...
印 달 탐사선 '찬드라얀 2호' 오늘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찬드라얀2는 발사 후 23일간 지구 궤도를 돌다가 이후 7일간 달 궤도로 향한다. 달 궤도에
도달
하면 달을 13일간 돌다가 궤도선과 착륙선을 분리한다. 착륙선은 48일 차인 9월 6일 달의 남극에 있는 두 분화구 만지누스C와 심펠리우스N 사이에 내려앉을 예정이다. 달의 남극은 물이 풍부하고 일조량이 ... ...
광학·제약에서 사용되는 '뾰족한 금 나노입자' 제어 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가시가 돋아나와 고슴도치 모양의 입자로 변했다. 입자의 밀도는 1초동안 단위면적 당
도달
하는 전자의 수에 비례하지만 액상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는 530~1120 nm(나노미터·10억분의 1m)의 파장대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가 뾰족한 형태로 변하는 ... ...
IBS “伊연구팀, 암흑물질 후보 ‘윔프’ 관측 주장 사실 가능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년간 두 배 정도 데이터를 더 확보할 수 있고, 여기에 분석 기술을 최적화해 3시그마에
도달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물리학에서 확고한 발견을 의미하는 '관측'으로 부르는 데 필요한 신뢰성은 5시그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물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 17일자에 발표됐다. 이번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로봇 덕후출신 과학자, 고장없는 탐사 로버 만드는게 꿈"
동아사이언스
l
2019.07.20
있다-코리아스페이스 포럼 제공 “달에는 대기가 없어 우주방사선이 그대로 표면까지
도달
합니다. 영하 170도의 밤과 영상 30도의 낮이 반복될 정도로 일교차가 큽니다. 비록 인간이 달에 도착했지만, 활동에 제약이 매우 커서 제대로 탐사 활동을 할 수 없죠. 다양한 장비를 갖춘 이동형 탐사 ... ...
달에서 ‘핵융합 에너지 원료’ 매장지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표토’를 꼽는다. 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미세한 운석이나 태양 방출 입자가 표면까지
도달
해 끊임없이 표면을 부순다. ‘우주풍화’로 불리는 이 과정에서 달 표토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달의 특정 지역에 따라 색과 크기, 쌓인 형태 등이 다른 이유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달착륙 실패? 더 큰 미래세대 꿈 심은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아폴로 11호가 3일만에 간 38만km 거리를 무려 650만km 경유해 두 달 이상 걸려 달 궤도에
도달
했다. 착륙 순간에 대해 그는 “총 15분의 착륙 절차 가운데 약 10여 분까지는 모든 게 완벽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착륙을 13km 남긴 시점에서 회전 방향을 측정해 자세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센서 하나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