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d라이브러리
"
호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마다가스카르 말로 ‘큰 섬’이라는 뜻의 ‘누시베’는 화산섬으로, 11개의 칼데라
호
가 있다. 또 마다가스카르 남부 지역에 위치한 이살루국립공원은 남북 400km에 이르는 거대한 평원 위에 솟아난 암석지대다. 평원은 해발 1000m 이상의 백악기 지층인데, 여기에 100~300m 솟아 있는 국립공원은 이보다 ... ...
통합과학 - 고분자의 합성과 분자량 계산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화학Ⅰ의 탄소화합물 파트에서 다루고 있는 고분자 합성 방법을 양이온 교환 수지를 통해서 깊이 생각해보자. 이번
호
에서는 고분자의 분자량을 계산하는 방법인 삼투압법과 말단기 정량법을 주어진 제시문을 통해 알아본다. ...
몸집 줄여도 성능은 기대 이상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것 같은데 낯설다. 미러리스 카메라, 도대체 정체가 뭘까. DSLR과는 어떻게 다를까. 이번
호
속살테크에서 따져보자.렌즈와 촬영자가 보는 화상이 같아야좋은 사진을 찍으려면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을 촬영자가 정확하게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렌즈 안쪽의 바로 맞은편에 뷰파인더 ... ...
9화 새로운 단서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같은데?”다가오는 위협, 다시 학교로!퍼즐을 완성하자 세 군데의 빈 공간에 글씨와 기
호
가 드러났다.“이건 스승님의 필체야! 음…. ‘학교’? 이건 화살표 같은데? 원래 또박또박 글씨를 쓰시는 분인데…. 급하게 흘려 쓰신 모양이야.”“혹시 ‘시작된 곳’이 학교를 가리키는 거 아냐? 그러고 ... ...
나의 NASA 입성기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어떻게 내 집 전화번
호
를 알게 되었는가이다.고다드 연구소의 모든 건물은 번
호
로 불린다. 내가 있던 21동은 코비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을 만든 연구팀과 허블우주망원경의 스티스 관측기를 만드는 연구팀 등 으리으리한 팀들을 품고 있었다. 코비팀은 그 당시 빅뱅우주론에 관한 연구결과를 ... ...
위협을 느끼면 폭풍성장하는 박각시나방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박각시나방의 애벌레는 포식자가 주변에 있으면 더 빨리 성장한다.]포식자가 나타나면 대부분의 동물들은 움직임을 줄이고 방어에 온힘을 다한다. 따라서 쓰는 에너지는 많아지고 ... 포식자 때문임을 확실하게 해줬다”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7월
호
에 실렸다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몇 달 전, 일본 에도시대 유학자가 쓴 논어 주석서 ‘논어징’을 읽다 한 대목을 트위터에 올린 적이 있다.“사람에 대해 알면 안다고 하고 모르면 모 ... ‘숨어있는 편벽하고 괴이한’ 것도 눈에 보일 때까지 파고든다(그래서, 힘 내서 다음
호
에는 암흑물질을 다룰 예정이니 기대하시라) ... ...
메신저
호
가 밝힌 수성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그러다 보니 수성에 대해 모르는 게 많아요. 그런데 지난해 수성탐사선 ‘메신저
호
’가 수성 궤도에 진입하면서 수성에 관한 비밀을 하나씩 밝혀내고 있답니다.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마리아 주발 교수팀은 수성 표면에 레이저를 쏜 뒤 반사돼 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성 표면이 화산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못하고 멸망했던 것이다.[분홍빛 좀참꽃이 화려하게 핀 백두산 천지의 모습.][병자
호
란을 배경으로 만든 영화 ‘최종병기 활’에서 우리나라를 침공해 오는 청나라 군대의 모습. 당시 동아시아는 기온이 내려가는 소빙기에 들어가면서 농사가 잘 되지 않아 전쟁과 내부 갈등이 많았다. ... ...
수학 - 기본작도를 이용한 순수기하 탐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작도는 자와 컴퍼스만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어 기하학적 형태의 특이성(대칭, 합동, 닮음 등)을 찾는 연습이 필수다. 이를 통해 기하학적 원리를 보는 눈을 키울 수 있다. 이번
호
에서는 중학교 때 배우는 기본작도 세 가지를 이용해 복잡한 형태를 어떻게 작도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