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외"(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과학동아 l2009년 08호
- 1개월일 경우 아열대기후가 된다. 쾨펜의 구분법에 따르면 강릉, 인천, 추풍령, 울릉도를 제외하고 서울과 전주, 제주, 대구, 목포 등은 아열대기후에 속한다.그러나 이런 구분법에 따르면 지구온난화가 문제되지 않았던 1951~1980년 사이에도 이미 서울과 전주, 제주, 대구 등은 월평균기온이 20℃ ... ...
- 생명의 책, DNA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정보에 있어서 모든 사람들은 염기 배열에 0.1%의 차이를 보인다(일란성 쌍둥이는 제외).지구상의 모든 생물들은 세포 속에 유전자 정보를 포함한다. 세포 하나의 수명이 짧게는 한 달에서 길게는 수년간 지속되는 동안 세포는 자신과 똑같은 유전정보를 가진 다른 세포를 만든다. 이를 세포분열이라 ... ...
- [입학사정관제] 2010 입학사정관 전형 특징과학동아 l2009년 07호
-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자질이 있어 스스로 추천하는 자’로 규정한다. 예체능계를 제외한 모든 과(의대 포함)를 지원할 수 있지만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이 없는 검정고시 출신자는 지원할 수 없다.중앙대 공략법① 균형 잡힌 인재가 주목받는다.중앙대는 ‘펜타곤형 인재 선발’이라는 독특한 ...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과학동아 l2009년 07호
- 2가지다. 땀을 분비해 체온을 조절하는 에크린땀샘은 입술 경계부분이나 손발톱 아래를 제외한 피부 전체에 고루 분포하며 특히 손바닥이나 발바닥, 겨드랑이, 이마에 많다. 겨드랑이나 성기 부근에 많은 아포크린땀샘도 체온을 조절하지만 땀 냄새와 관련이 더 깊다.아포크린땀샘에서 분비된 땀은 ...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과학동아 l2009년 07호
- 차이는 있지만 교과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 학교는 거의 없다(KAIST 학교장 추천 전형 제외). 현재는 학생부 성적만 100%를 반영하거나 성적을 일부만 반영하는 학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지원 자격으로 명시한 학교로 구분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정시나 수시로 들어가기에는 성적이 약간 부족한 ... ...
- 色은 약이다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상위에 꼽혔다.특히 대부분의 어린이가 명도 4 이상의 밝은 색을 좋아했으며, 핑크를 제외하고는 채도가 10이 넘는 순색에 가까운 색을 선호했다. 아동들이 싫다고 응답한 색은 명도, 채도가 각각 4.5 이하인 어둡고 탁한 색이었다.이러한 결과를 보면 소아과 병원에는 빨강, 노랑, 핑크, 주황처럼 ... ...
- ‘신의 눈’에서 ‘우주 물음표’까지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먼지 고리가 외곽(헤일로)에 있는 무수한 별들의 빛을 받아 돋보인다. 먼지 고리를 제외하고는 타원은하와 비슷하지만 보통 타원은하에 비해 구상성단의 수가 상당히 적다.15년 만에 벌어지는 이벤트올해는 토성에서 특별한 이벤트가 벌어진다. 지구에서 보면 토성의 고리 가장자리가 드러나 ... ...
- ‘분장실의 강선생님’ 만든 분장화장품의 세계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의 빛은 흡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간 립스틱은 빨간색을 제외한 나머지 파장의 빛은 흡수하기 때문에 빨갛게 보인다. 물론 빨간색도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총망라하면 가짓수가 엄청나다. 미묘한 색상의 차이에 따라 반사하는 파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를 ...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약 30억 년 전 1500가지에 이르렀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새로운 광물 형성 과정을 제외하면, 1500종의 광물은 행성이 보유할 수 있는 최대치다. 지구에서 다음 단계는 생명체가 넘겨받았다.6단계 (39억~25억 년 전)생물의 영향 아직 미미지구 표면 광물상에 영향을 준 생물학적 과정은 약 38억 년 전 생명이 ...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명의 희생을 치른 후 1969년에 가서야 현실로 이루어졌고(11호), 아폴로 13호의 돌발 사고를 제외하면 17호에 이르기까지 6번 달 착륙에 성공했다. 태양계 행성탐사 마리너, 파이어니어, 바이킹, 보이저 등의 미션을 성공시킨 미국은 1960년대와 1970년대 행성 탐사의 선두 주자였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