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체"(으)로 총 1,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종이론의 꿈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물질, 즉 암흑물질(dark matter)은 약 22%를 차지한다.나머지 74%는 물질과는 전혀 다른, 그 정체를 알 수 없는 어떤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 이를 암흑에너지라고 부른다. 우주의 진공에너지를 표현하는 우주상수(cosmological constant)가 암흑에너지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대체로 짐작하고 있으나 확실한 것은 ... ...
- 십자가로 변신하는 백조과학동아 l2007년 09호
- 거대한 십자가가 돼 서쪽 지평선을 밝힌다. 백조에서 십자가로 변신하는 이 별자리의 정체를 쫓아가보자.서쪽하늘에 출현한 갈보리 십자가여름부터 초겨울까지 밤하늘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상은 단연 ‘여름철 대(大)삼각형’이다. 거문고자리 베가, 독수리자리 알타이르, 백조자리 데네브가 ...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전파 천문학자들은 이 새로운 우주신호의 정체에 대해 몇 달을 고민했다. 그들은 일단 정체불명의 신호에 LGM-1이란 이름을 붙였다. LGM이란 인간과 비슷한 외계 지적생명체가 보내는 신호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재미있게 표현한 ‘작은 초록 외계인’(Little Green Man)의 첫글자를 딴 이름이다. 첫번째 ... ...
- PART2. 향기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8호
- 유칼립투스, 제라늄 등 특별한 향기를 지닌 식물에서 뽑아 낸 오일이 쓰인다. 숲 향기의 정체는?숲에 가면 상쾌한 향이 난다. ‘피톤치드’라는 물질이 숲 향기의 주인공이다. 이 물질은 식물이 해충이나 박테리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내보내는 물질이다. 이 천연물질은 인간의 면역력을 ... ...
- 가짜는 살아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7호
- 진짜 음식인 줄 알고 먹었다간 이를 다칠 수 있으니 조심!쨍그랑! 영화 속 깨진 유리창의 정체는?물, 물엿, 설탕, 주석영을 모두 녹여 틀에 붓고 식히면 설탕 유리가 완성된다. 주석영이 녹은 설탕시럽에 결정이 생기지 않도록 해 유리처럼 된다. 보기에는 유리와 똑같지만 먹어도 안전! 깨져도 안전! ... ...
- 흰 설탕의 비밀과학동아 l2007년 07호
- 과연 합당한 것이었을까?똑똑해지는 신경 조절제?극락도의 주민들은 설탕 속에 섞인 정체불명의 신경 조절제를 먹으면서 점점 똑똑해진다. 가장 괄목 할 만한 발전을 보인 사람은 저능아였던 한씨. 한씨는 마을사람들 중 가장 많은 양의 신경 조절제를 먹은 덕분에 숨은그림찾기의 오답을 찾을 ...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과학동아 l2007년 07호
- 줄 알았다. 스위스 천문학자들이 ESO 거대망원경(VLT)으로 OGLE-TR-122b를 자세히 살펴봤을 때 정체가 드러났다. 질량이 목성의 96배로 알려지면서 별임이 밝혀졌다. 그것도 우주에서 가장 작은 별임이. 중심에서 수소핵융합이 일어날 수 있는 한계(목성 질량의 75배)를 넘어야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라고 ... ...
- 아찔아찔 스카이다이버 추락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7호
- 미스터리한 사건을 해결해 주는 우리의 닥터고글. 뉴질랜드의 섬을 여행하던 중, 정체불명의 소리에 깜짝 놀랐다.“이게 뭔 소리지? 냥냥, 어디선가 사건 냄새가 폴폴~ 나는 것 같지?”“킁킁. 냐아~ 옹, 꺄아~ 옹, 그르렁그르렁….(킁킁. 글쎄 닥터고글 발냄새가 독해서 다른 냄새는 안 나는데….)이 ...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과학동아 l2007년 06호
- 검출하는 장치 결정계수체라고도 한다 강한 전기장(~1,000V/cm) 안에 있는 반도체나 결정체에 하전 입자가 입사되면 그 경로에 따라 결정 내부 속박전자의 일부가 에너지를 얻어 일시적으로 전도띠가 되는 동시에 충만띠에 양공(陽孔)이 남는데 그 이동에 의해 전극에 펄스전압이 발생한다이것을 ...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과학동아 l2007년 06호
- 틀어보다가 구름 위에서 예상치 못한 눈부신 불빛을 발견했다. 당시에는 그 정체를 몰랐지만 메가번개의 일종인 ‘스프라이트’를 최초로 촬영했던 것이다.이 촬영결과는 꼭 1년 뒤인 다음해 7월 6일 ‘사이언스’에 실렸다. 프란츠 박사팀은 이 논문에서 뇌운으로부터 ‘솟아오른 번개 섬광’, 즉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