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밀랍을 씹어 말랑말랑하게 만든 뒤, 육각형 모양의 벌집을 지어요. 이렇게 밀랍의 성질을 이용하면 친환경 랩을 만들 수 있어요. 프라이팬에 천과 밀랍을 올리고 불을 켜면, 밀랍이 녹아 천 속 빈 공간 사이사이에 흡수돼요. 밀랍의 주성분인 지방산은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성질이 있어 밀랍 랩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빼기도 하지요. 섭섭박사는 풍선을 터뜨리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거예요. 준비물은 레몬 껍질! 레몬 껍질을 두 손가락으로 잡은 뒤, 풍선 바로 옆에서 힘주어 구부려 보세요. 껍질에서 즙이 나오는 순간, 풍선이 팡! 터질 거예요. 어떤 원리로 터지는 거냐고요?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코딩으로 N서울타워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건축하기 건축물의 마지막은 뾰족한 첨탑으로 장식해 봐요. ‘선 모양 만들기’를 이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➊ 채팅명령어를 ‘6’으로 약속하세요.➋ ‘블록 채우기’ 명령을 가져온 뒤 블록은 석영으로 바꾸고 좌표는 월드좌표로 화면과 같이 바꾸세요. ➌ 고급-모양 카테고리에서 ‘선 ... ...
- [과학 뉴스] 빙하기 매머드, 평생 지구 두 바퀴 돌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연구팀은 지역에 따라 산소와 스트론튬 동위원소의 비율이 조금씩 다르다는 점을 이용했습니다. 이를 매머드 상아의 동위원소 비율과 비교한다면 매머드가 움직인 지역을 추적할 수 있지요. 연구팀은 지역에 따른 동위원소 비율을 알아내기 위해 각 지역에 사는 설치류의 이빨 화석을 분석했어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수법이니 조심해. 해킹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법은 우리 모두가 올바르게 디지털을 이용하는 거라는데…? 자세한 방법은 아래 QR을 찍어 확인해 봐. 필자소개 박유신(서울 석관초 교사)서울석관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애니메이션과 미디어,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 ...
- [가상 인터뷰] 반딧불이가 동시에 깜빡깜빡하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오른쪽에 각각 눈이 있는 덕분에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 같은 원리로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반딧불이 떼의 3차원 모형을 컴퓨터로 만든 거야.연구팀은 반딧불이 떼 내부에도 카메라 두 대를 설치했어. 반딧불이 시점에서 다른 반딧불이를 보기 위해서지. 반딧불이의 떼창은 어떻게 이뤄진대 ... ...
- 미로 같은 굴뚝을 통과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발표하겠다며 나섰어요. “굴뚝 속 미로를 재빨리 통과하는 게 첫 번째지요! 수학을 이용하면 아무리 복잡한 미로라도 그 출구를 금세 파악할 수 있다고요.” 순록이 이토록 자신만만하게 말하는 미로 탈출 비법, 대체 뭘까요? 깜깜한 굴뚝 안으로 들어가면 복잡하게 얽힌 미로가 시작돼요. 이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첫 줍깅!정예림 기자 포항 곤륜산에서 장갑을 끼고 집게를 이용해 마스크 4개, 물티슈 1개, 페트병 2개를 주웠어요. 코로나 때문에 마스크가 많이 버려지고 있어요. 특히 마스크 끈을 끊지 않고 버려서 새들이 그 끈에 걸려 잘 날지 못 할까봐 걱정되었어요. 플라스틱 일기탄산수 병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내 방에서 만나는 별 디스커버리 별자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그림이 그려진 보드가 있어요. 그림마다 하얀 점과 점 사이에 얇은 선이 있는데, 핀을 이용해 점을 뚫어 주세요. 빛이 통과할 돔 모양의 보드를 동그란 테와 연결해 붙인 뒤 스탠드, 바닥판에 고정시키면 완성! 방 안의 불을 꺼서 어둡게 만든 뒤 테이블 위에 올려 램프를 켜 보세요. 반짝반짝 빛나는 ... ...
- 모든 길을 한 번씩만 거쳐서 이동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보이는 문제를 점과 선으로 단순하게 바꿔 금방 해결해주니까요. 이처럼 점과 선을 이용해 사물 사이의 관계를 알아내는 연구를 ‘그래프 이론’이라고도 부른답니다. 대도시의 복잡한 지하철 노선을 짤 때, 택배를 배달할 가장 빠른 방법을 찾을 때 아주 큰 역할을 하고 있지요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