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최 대표는 “천연 향료는 셀 수 없이 많은 성분으로 이뤄진 복합체이므로 알레르기
반응
을 일으키거나 발암 위험이 높은 성분, 신경 마비 물질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있을 수 있다”면서 “이에 비해 합성 향료는 제조 과정에서 유해한 성분을 제외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그런 것들도 바꿨습니다.”프로스페로가 대답했다. 그는 눈을 가늘게 떴다. 내
반응
을 가늠하려는 것이었을까?“멀린은 어디 있나요?”내가 애써 쾌활한 목소리로 물었다. 내 말에 프로스페로와 메데이아는 서로 얼굴을 마주 보았다.“멀린은 잠을 자고 있어요.”메데이아가 말했다.“404시간째 ... ...
[과학뉴스] 물로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쑤 연구원은 “물 기반의 전해질을 쓰면서 흑연과 리튬 같은
반응
성이 좋은 양극을 안정화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배터리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줄’ 9월 6일자에 발표됐다. doi:1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세포로 대량 분화시켜 1000가지가 넘는 신약 후보물질에 노출시켜 봅니다. 그중 세포가
반응
하는 물질만 추려내면 환자 맞춤형 약이 탄생하는 거죠. 앞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의과학 분야의 지형을 어떻게 바꿔 놓을지 기대가 됩니다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만들었다. ‘동쪽 끝 섬 독도’라는 글을 선으로 추상화한 것이다. 그때 교수와 친구들의
반응
이 흥미로웠다. 한글을 문자가 아닌 오로지 추상미술의 도구로 받아들이고, 작품에 메시지가 숨어있다는 데 매우 재밌어 했다. “운이 좋게도 이 작품으로 교내 상을 받았어요. 외국인들은 한글을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폭발물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는 방법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폭발물의 주성분인 TNT와
반응
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개발했어요. 그 다음, 이를 시금치의 잎사귀에 발랐답니다. 시금치 뿌리가 TNT가 섞인 물을 잎사귀로 전달할 거라고 생각한 거죠. 또한 연구팀은 시금치 잎에서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알아채지 못하고 있다. 제모를 받는다고 말해야 ‘아, 어쩐지 볼은 깨끗해졌네’라는
반응
이 돌아온다. 박 원장은 “레이저 공격에도 모낭세포가 죽지 않을 수 있다”며 “몸에서 재생 또는 치유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시술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전, 며칠 동안 팔에 발라보고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얼굴에 바르는 방법도 있다. 이상
반응
이 있어서 사용하지 못할 경우 화장품을 환불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추남의 계절 ‘오빠 피부’를 탐하다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Part 2. “털!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된다. 오 교수는 “팔씨름을 하듯 움직이는 ‘밀당 로봇’”이라며 “외부 힘에
반응
하도록 설계된 만큼 산업현장에 도입하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 자연스럽게 걷는 휴머노이드 개발이 로봇을 활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운동법을 쉽게 개발할 수 있다. 현재 헬스클럽에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사슬로 만든 물질이다. 윤충식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고분자 사슬 사이에 간혹
반응
에 참여하지 못한 단위 분자가 끼어 있을 수 있다”며 “온도가 올라가면 고분자 결합이 느슨해지면서 단위 분자가 방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체온 상승은 한계가 있다. 윤충식 교수는 “단위 분자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