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어나는 DNA 염기)를 밝혀냈다. 밀의 전체 염기서열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팀은 방대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바이오인포메틱스 기술을 사용했다. 밀 게놈을 평균 길이가 76개 염기쌍인 긴 DNA 조각으로 절단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하는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ITER 사업은 설계부터 제조 공정, 운영 방식에 이르기까지 KSTAR에서 축적된 데이터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KSTAR는 ITER의 축소판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ITER는 KSTAR의 30배 크기다.올해 1월 한국은 회원국 최초로 ITER 장치의 진공용기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블록)를 완성했다. ...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다는 걸 알게 됐다. 김 씨는 “산업공학과 교과 과정을 찾아봤는데, 최적화와 데이터 마이닝, 경영과학 등 공부하고 싶은 학문이 너무 많았다”며 “주변에서도 산업공학과의 미래가 밝다는 이야기를 많이 해 희망 진로를 수학과에서 산업공학과로 바꿨다” 고 말했다. 자사고인 울산 성신고에서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논문에는 초신성을 맨 처음 관측한 빅터 부소의 이름도 포함되어 있답니다.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초신성 SN 2016gkg가 태양보다 20배나 큰 질량을 가진 항성이었던 것으로 추정했어요. 그리고 주로 나선은하에서 관측되는 ‘●Ⅱb형 초신성’이라는 것을 알아냈지요. 연구에 참여한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7년 5월에는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이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찍은 사진 속 GPS 데이터를 이용해 아스페리타스가 만들어지는 조건을 밝혀냈어요. 당시의 적외선 위성 이미지와 일기 예보, 레이저 구름 측정치 등을 분석한 결과, 아스페리타스는 1000~2000m 이하의 낮은 높이에서 ●층적운이나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천랩 천종식 대표는 “시민들이 직접 자신의 장내미생물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데이터를 만들고, 재미를 느끼면서 건강도 관리하고 과학 연구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천종식(천랩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장내미생물이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반도체 칩이지만, 이들과 달리 여러 개의 연산을 동시다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한 딥러닝에 특화된 처리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화웨이가 개발한 세계 첫 모바일용 AI 프로세서 ‘기린 970’, 애플의 ‘아이폰 X’에 탑재된 ‘A11 바이오닉’이 대표적이다. A11 바이오닉의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주일이 걸린다. 연구진은 일주일 뒤 또 다른 금속을 또 다른 비율로 섞기를 반복하며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유 교수는 “40~50년 전에 비해 백금의 비율을 100분의 1로 줄였지만, 내연기관과 경쟁하기 위해 10분 1을 더 줄여야 한다”며 “‘최고의 촉매’를 찾기 위해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872명의 범죄수사 DNA 데이터와 조상 찾기 서비스의 게놈 데이터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데이터가 90~9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재희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친족 확인도 30% 이상 맞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0 .. ...
- [Issue] ‘인스타 스타’ 아보카도, 환경파괴 주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아보카도의 경우) 국내 생산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 데이터부터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 부족, 산림 파괴 문제도 해결해야 아보카도는 온실가스만 논란이 되는 게 아니다. 물 소모량도 어마어마하다. 가로세로 100m 규모의 아보카도 농장을 운영하는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