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다녀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형성되기에 세계에서 손꼽힐 만큼 좋은 조건“이라고 하셨어요. ●인터뷰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전공 교수)최선하(람사르고창갯벌센터 명예습지생태안내인) “한국의 갯벌, 단연 세계 최고입니다.” Q세계유산 등재, 한 차례 위기가 있었다고요? 우 세계유산 평가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생각나요. 앗? 그런데 벌집은 육각형만 있는 게 아니라고요? 지난 8월 3일, 미국 코넬대학교 마이클 스미스 교수팀은 벌이 벌집을 만들 때 필요에 따라 방의 크기와 형태, 기울기를 달리해 다양한 모양의 방을 만든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야생 벌은 인접한 여러 장소에서 동시에 집을 만들어 ... ...
- [특집] 기후 재난을 피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기후 재난을 막을 희망은 있대! 5℃ 시원해지는 옷이 있다?!7월 8일, 중국 화중과학기술대학교 타오 광민 교수팀은 옷을 만들면 신체 주변의 온도를 최대 5℃ 낮출 수 있는 원단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우리는 햇빛 등을 막기 위해 옷을 입어요. 그러면 가시광선은 반사되지만, 열을 내는 ... ...
- [가상 인터뷰] 후쿠시마 출입금지구역 방사능 측정은? ‘특파원 뱀’이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7월 20일, 미국 조지아대학교 야생생태학과의 제임스 비즐리 교수와 일본 후쿠시마대학교 환경방사능연구소 토마스 힌튼 교수 공동연구팀이 후쿠시마 인근에 서식하던 쥐잡이뱀을 토양 방사능 오염 모니터링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어. 우리 쥐잡이뱀은 하루에 100m도 이동하지 않아 ... ...
- [현장취재] 개구멍을 엉금엉금! 탐험의 시작백룡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평창군에 위치한 백룡동굴입니다. 현장취재를 위해 필자인 강원대학교 우경식 교수님과 기사 담당인 이창욱 기자, 그리고 강원도청과 함께 이곳을 찾았지요. 방송국 촬영팀도 막판에 합류했습니다.백룡동굴은 체험형 개방동굴로, 입장권을 끊고 들어가는 일반 개방형 동굴과는 ... ...
- [그래프 뉴스] 고래밥, 생각보다 많이 먹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사실이 밝혀졌어요. 고래는 주로 작은 물고기, 오징어, 크릴 등을 먹지요.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대서양, 태평양, 남대양 등 여러 바다에 사는 고래 321마리를 관찰했어요. 고래가 먹이를 얼마나 먹는지, 무엇을 먹는지 알기 위해서였지요. 연구 결과 대왕고래는 하루에 ... ...
- [특집] 특명 기후재난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이 불볕더위에 산책하러 가자고? 요즘처럼 35℃가 넘는 더운 날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게 최선이야. 그런데 우리보다 10℃ 이상이나 더운 나라도 있고, 비가 억수같이 쏟아져서 피해가 속출하는 나라도 있다던데…. 지구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 ... ...
- [특집] 폭염의 이유는 열돔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그런데 지난 7월 8일, 세계기상원인분석(WWA)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네덜란드 기상청 등 국제 연구팀은 이번 열돔 현상이 기후변화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기후모델을 만들어 지구 평균 온도가 높아질 때마다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봤어요. ... ...
- [과학 뉴스] 외계 기술 문명 찾는다! 갈릴레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망원경 시스템을 이용해 증거를 관측할 예정이지요.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천문학자 에비 로엡 교수와 전 세계 천문학자들만이 아니라 미국 과학장비 제조회사 ‘브루커 코퍼레이션’의 프랭크 로키앙 대표 등이 참여하고 있어요.갈릴레오 프로젝트가 시작된 계기 중 하나는 201 ... ...
- [4컷 만화] 자고 일어났더니 손가락에 전기가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생겨 손가락 끝에 감싼 채 잠만 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지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나노엔지니어링학과의 조셉 왕 교수팀은 이같은 내용의 연구를 7월 13일 발표했어요.이전까지 개발된 웨어러블 발전기는 착용자가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햇빛과 온도 변화 같은 외부 환경으로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