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평가기준 분석이 논술 준비의 핵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대체하기도 한다. 물론 배경지식이 분석이나 추론 능력을 대신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논제에 등장한 소재를 사전에 배경지식 형태로 접했다면 분석이나 추론을 위한 고민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배경지식의 맹점도 있다. 서울대 모의논술고사와 정시 논술고사 모두에서 교과서 이상의 ... ...
예수 탄생 기념하는 세계인의 축제 마당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차분하다. 유태교를 믿는 이스라엘에서 예수는 선지자 중의 한명일 뿐이기 때문이다.
다만
아기 예수가 태어난 베들레헴에선 해외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찾아와 다채로운 행사를 가진다.베들레헴을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으레 찾는 곳은 아기 예수가 태어난 동굴 외양간이다. 아기침대로 쓰였던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신경모세포종의 경우 너무 늦게 발견하면 암 덩어리를 제거해도 시력을 되찾지 못한다.
다만
백내장처럼 후천적으로 시력을 잃었을 때는 망막의 시세포가 정상이기 때문에 수술과 같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시력을 되찾을 수 있다. 강석훈 전문의 >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드물죠.”18년 전 발표한 서 교수의 박사학위 논문은 하천 해석 모델에 관한 연구다.
다만
그 때는 해석 방식이 선(1차원)과 면(2차원)을 적절히 섞은 1.5차원이었다. 최근 개발한 램스는 2차원 모델이다. 1.5차원 연구에 있어서 그는 이미 세계적인 권위자다. 1998~2004년 국제 저널에 발표한 논문 4편은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충돌, 쓰나미보다 무서워사실 지구가 형성된 이후 소행성들은 계속 지구와 충돌해왔다.
다만
천문학자들은 ‘대충돌시기’라는 태양계의 행성 형성과정 초기에 집중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뒤 오랫동안 충돌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그런데 최근 이런 생각이 바뀌고 있다. 지구와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데 아질산나트륨은 이를 막을 수 있어 꼭 필요한 첨가물이다.
다만
많이 쓸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식품 원료에서 천연색소를 만들어 합성색소를 대체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천연색소는 색이 약하고 불안정한 데다 품질이 일정치 않은 반면 값은 비싸다. 다양한 원료에서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식품 개발은 보수적이어야“물론 MSG가 아무런 해가 없다는 연구결과도 많습니다.
다만
저희는 우리가 먹는 식품에 이렇게 논란이 되는 원료를 써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초기에는 풀무원에 식품원료를 공급하는 업체가 천연원료에 MSG를 슬쩍 집어넣어 풍미를 좋게 한 시료를 제출하기도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패러다임을 깨는 자유로운 사고라는 점을 역설해 출제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짚었습니다.
다만
1%의 영감이 중요하다는 말이 영감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노력의 중요성을 낮게 말한 것이지 노력 자체가 쓸모없다는 뜻이 아님을 명확하게 했으면 더 좋은 답안이 됐으리라 봅니다.①번은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매우 힘들어 배아줄기세포를 원하는 대로 배양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시도되고 있다.
다만
배아줄기세포는 그 자체를 인간 생명으로 볼 수도 있어 윤리적 문제가 남아 있다. 강석훈 전문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좋겠다.요즘 가장 재밌는 일은 뭔가?특별한 에피소드는 없다.
다만
젊은 사람들과 연구하는 일이 너무 즐겁다. 젊은 연구자들은 매우 경쟁적이어서 나도 그 속에 있다 보면 나이를 잊고 연구하게 된다. 물리학 중에서도 최근 양자정보 분야가 가장 활발히 연구돼서 더욱 힘이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