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없었다. 백악기 때 새와 대형 익룡이 공존했다는 증거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에서도 거대한 익룡과 조그마한 새가 함께 호숫가 주변을 돌아다녔음을 보여주는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됐다.안타깝게도 이 날짐승들의 공존은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 년 전, 백악기 대멸종 ... ...
- [News & Issue] 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미지 바꾼다해외를 여행할 때 모르는 길을 친절하게 가르쳐주는 외국인이 있으면 그 나라 전체에 대한 인상이 좋아지곤 한다. 여기에 과학적 근거가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스위스 취리히대 그릿 하인 교수팀은 한 개인과 좋은 경험이 있으면, 그 사람이 속한 집단 전체와도 친밀감이나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문인식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게다가 전 국민의 지문이 데이터베이스화 돼 있는 나라는 흔치 않다. 헌데 육지와 달리 수중 증거물에서 지문을 찾는 기술은 아직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지문이 물에 들어가면 쉽사리 없어지는 탓이다.지문은 대부분이 물로 이뤄진 자국이다. 여기에 땀샘에서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삼중수소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중수로 원자력 발전시설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경북 경주의 월성원전에서 중수를 활용해 산업용 삼중수소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에는 아직까지 중수로가 없다. 평안북도 영변의 흑연감속로를 중수로로 바꾸는 방법이 있지만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년간 연수를 떠난다.캐나다는 유럽과 더불어 수중과학수사 연구가 가장 활발한 나라다. 법의학자와 조류(녹조류 같은 원생생물)학자가 손을 잡고 익사체 내부의 플랑크톤을 분석해 논문을 쏟아내는 곳이기도 하다.김 교수는 스승인 황적준 고려대 교수를 보고 법의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황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 세 국가는 등대 보존에 별 관심이 없습니다. 적극적으로 등대를 파괴하자고 주장하는 나라도 있고요. 등대 주인 종족이 돌아온다면 새로운 위협이 될 거라는 얘깁니다. 잊을 만하면 돌고 도는 주제죠.’나는 옛 기억을 조금 복기하고 말했다. ‘그걸 전쟁의 빌미로 삼기도 했겠죠.’‘비슷합니다.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하면 몇 쪽이 넘어가는 증명도 결국 하나의 아이디어에 좌우된다는 걸 알 수 있어요.여러 나라에서 공부를 해보셨다고 했는데, 외국에서 연구를 할 때 한국과 차이가 있었나요?약 20년 전만 해도 한국의 연구 환경이 척박했다고 하지만, 지금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예전에는 외국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인증(KC)만 받으면 판매가 가능하다. 3D 프린터에 특정한 표준이 아직 없다는 뜻이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다. 대안 노력도 계속돼다행히 조금씩 대안이 마련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에서도 표준화와 규제 관련 논의가 시작됐다. 이강 산업통상자원부 전자전기과 사무관은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전까지는 수십여 곳에 나눠 보관할 만큼 어진의 수와 종류가 많았습니다.어진은 나라와 운명을 함께 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됐다가 복원되기도 했고, 6·25전쟁때는 부산의 한 창고에서 보관했습니다. 그리고 1954년 12월 10일, 용두산에서 시작된 불이 이 창고까지 퍼졌습니다. 이 화재로 불에 타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변이다. 한 종에 속한 개체들은 저마다 조금씩 다르다. 나는 내 가족들, 내 이웃들, 다른 나라 사람들과 키, 성격, 지능, 다리 길이 등에서 다르다. 둘째, 유전이다. 변이 가운데 어떤 것들은 부모에서 자식으로 전해진다. 셋째, 차별적인 번식이다. 개체들이 후대에 남기는 자식 수는 각기 다르다. 이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