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없을 것 같네요.” 기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은 35.78mL/min/kg. 20대 여성 상대평가기준 7단계 중 하위 3단계에 해당하는 ‘평균 이하’였다. 이는 1분마다 최대 35.78mL의 산소를 섭취한다는 얘기다. 성 수석연구위원은 “우수한 선수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이 85~90mL/min/kg을 넘는다”며 “한 번에 마실 ... ...
- 장교식 건국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학생을 추천할 수 있다. 장 입착처장은 “KU자기추천과 KU학교추천 모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없다”며 “수시전형에 응시한 학생들이 학생부종합전형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장 입학처장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꿀팁’ 하나를 공개했다. 장 입학처장은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이런 변화와 상관 없이 현재 환경을 기준으로 진로를 탐색한다면 사회가 원하는 인재로 성장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변화하는 사회의 트렌드를 파악해야 한다. 변화를 읽어내기 위해서는 신문기사를 활용하거나 트렌드를 다루는 책을 읽어보길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구 주제를 선택하는 기준”이라고 말했다. 대학원을 갓 졸업한 뒤에도 이 기준을 가지고 연구 주제를 선택했다. 그랬기 때문에 자신감을 가지고 문제를 풀 수 있었다. 리벳 교수는 리벳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세상 어느 누구도 내가 생각한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없었다”고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생리의학상의 경계가 모호해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노벨상이 100년 이상 수상 기준과 수상 분야의 틀을 고스란히 이어온 탓에 새로운 연구 분야가 탄생하거나 세분화되는 현대 과학의 흐름을 쫓아오지 못한다고 비판하는 시각도 있다. 5. 일본 약진, 벌써 23명 수상수상자의 국적에 따라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단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1 스테라디안(sr) 당 1/683 와트(W)일 때의 광도를 기준으로 빛의 밝기를 측정했다. 현재 이 측정 방식의 불확도는 10-4, 즉 0.01%에 불과하다. 광도의 단위에 683분의 1이라는 복잡한(?) 숫자가 포함된 이유는 1 칸델라의 영속성이 유지되도록, 밝기가 양초 1개의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상태를 점검하는 제도가 없기 때문입니다. 안전 관리나 서식 환경에 대한 규정도 세부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박 대표는 “특히 최근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동물 체험 시설이 가장 큰 문제”라며 “진짜 없어져야 할 동물원은 이런 체험 시설”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냉정하게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구분하는 명확한 기술적인 기준은 없지만, 최근 1m 이상이면 원거리 충전으로 본다”고 말했다. 근거리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크게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한다. 자기유도방식은 가장 오래됐고 그만큼 흔한 무선 충전 기술이다.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최근에야 완성됐다는 소식에 의아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량이 밀보다 훨씬 적은(전 세계 기준) 벼는 2005년 게놈이 완성됐고, 늦었다는 옥수수와 보리마저도 2009년과 2017년에 해독을 마쳤는데 말이다. 첫 번째 이유는 밀 게놈은 해독하기 불가능에 가까운 ‘괴물’이기 때문이다. 게놈 크기가 16Gbp(16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발생시키고, 2035년 완공해 본격적인 핵융합 실험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8월 말 기준 전체 공정률은 57.4%를 넘어섰고, 현재는 월평균 0.7%씩 완성돼가고 있다. 1987년 처음 아이디어가 나온 ITER는 2007년 한국을 포함해 유럽연합(EU),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인도 등 7개 회원국이 참여하는 지금의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