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d라이브러리
"
곤충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방 세제로 표면장력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물이 이를 떠받치는 표면장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표면장력이 큰 동물보다 작은
곤충
에게 크게 작용하는 까닭은 물과의 접촉면적에 있다. 소금쟁이가 물과 접촉하는 발은 무척 가늘어 접촉면적이 적다. 과거 생물학자들은 mm 단위 이하의 세계에서 표면장력이 지배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관찰로 ... ...
1. 폭력 난무하는 약육강식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두 은하가 이제 막 충돌한 듯 맞닿아 있을 뿐만 아니라
곤충
의 더듬이처럼 생긴 필라멘트 두개가 각각의 은하에서 하나씩 튀어나와 있다. 그래서 별명도 ‘더듬이은하’다.1950년대 스위스계 미국 천체물리학자 프리츠 츠비키가 충돌하는 은하들을 처음 체계적으로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아직까지 국내에 법
곤충
학이 정착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들 다양한
곤충
을 이용해 개구리소년의 사인을 규명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발굴현장의 흙도 정밀 분석시신이 옮겨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토양학 검사도 병행되고 있다. 유골 주변의 흙이나 유골 위에 있는 돌이 유골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지원을 중단했고, 1882년 3월 사이언스의 출판은 중단됐다.이후 당시 미국에서 유명한
곤충
학자였던 스커더에 의해, 중단된지 1년만인 1883년 2월 사이언스는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과학자 사회의 소식을 전하는 일을 사이언스의 중요한 목적이라고 생각했고, 이러한 목적이 어느 정도 성공해 1년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있다 암컷을 결정하는 성염색체가 헤테로(hetero)인 성 결정방식 조류 · 파충류 및
곤충
의 일부에서 나타난다암컷은 W염색체와 Z염색체를 가진 난자 2형(卵子二型)이고 수컷은 Z염색체를 2개 가진 정자 1형이다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것으로서 이론적으로 도입된 중간자 전하0, +및 -를 가진 스핀 1의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될 전망이다.재료공학 이외의 분야에서도 활약이 예상된다. 연구팀은 파리와 같은 작은
곤충
을 살아있는 상태에서 관찰했다. 그 결과 겹눈의 움직임을 비롯해 미세한 생명현상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볼 수 있었다. 즉 지금까지 어떤 장비로도 확인할 수 없었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에서 미세한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떨어뜨릴 수도 있다. 영화 ‘스타쉽 트루퍼스’에서는 은하계 반대쪽의 지능을 가진
곤충
들이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 지구를 공격한다.1백년 전만 해도 남극은 모험가들의 꿈과 동경 이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지금의 남극은 각종 자원의 보물창고로 주목받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주인 없는 남극 ... ...
기상천외한
곤충
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구별해서 ‘recruitment pheromone’이라고 부른다. 소집 또는 징병 페로몬이란 의미다.사회성
곤충
의 집단에서는 경보음이 너무 자주 울리면 곤란하다. 그런데 개미 사회에는 조금만 공격을 받아도 소집 페로몬을 분비하는 일개미가 있다. 늑대가 나타났다고 거짓말을 했던 양치기 소년의 경우처럼 별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들릴지 모르지만, 사람의 눈으로는 구별할 수 없다는 얘기다. 뱀은 적외선을 볼 수 있고,
곤충
인 벌은 자외선을 구별할 수 있다.빛을 원자나 분자에 쪼이면 부딪쳐서 흡수(또는 투과)되거나 산란된다. 반대로 흡수되거나 산란되는 정도를 분석하면 원자나 분자의 특성에 대해 알 수 있다. 분광학의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행동원리와 규칙을 모방해 로봇을 제어하려는 생각이다. 자연계의 벌이나 개미와 같은
곤충
, 그리고 무리를 지어 다니는 새나 물고기 등의 협조행동을 모방해 기능이 비교적 단순한 소형로봇들의 집단행동을 실현시킨 것이 좋은 예다.인공생명으로 구현한 로봇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