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11
알려졌던 에이즈를 일으키는 병원체를 단기간에 밝힌 것은 과학계 쾌거다. 처음 발견된
특정
질환의 원인을 불과 2년 만에 명확하게 규명한 사례는 과학사에 없다. 에이즈 확산을 막으려면 예방백신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에이즈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다행히 많은 제약사들이 HIV 연구에 집중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11
피리처럼 말이다.따라서 두 도체 평판 사이에는 진공에 있는 에너지 파장 가운데
특정
에너지 파장만 남게 되고, 평판 사이의 에너지 밀도는 평판 밖보다 작다. 그 결과 평판 사이에는 안쪽으로 밀리는 힘이 생긴다. 이 힘이 카시미르 힘이다.카시미르 힘은 이론적으로 예측된 지 50년이 지나서야 처음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11
수십~수백 개가 모여 만든 여러 가지 물질의 구조와 움직임을 이해하면 스스로 결합해
특정
한 모양의 구조물을 이루는 자기조립물질이나 인공피부처럼 생체 소재로 쓸 수 있는 바이오 물질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그런데 나노물질 분석에는 일반 중성자가 아닌 ‘냉중성자’를 쓴다. 냉중성자는 ... ...
[수학]특이적분과 개념함수
과학동아
l
200811
k)=k·(k-1)!=k! 이 돼 Г(n)=(n-1)!는 참이다.Q_2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가) 유체 내부의
특정
한 위치에 작용되는 압력은 힘의 면적에 대한 비로 정의된다. 즉 압력은 단위면적(1m2)당 힘이다. 유체의 압력 크기는 깊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밀도 ρ인 유체 속의 깊이 h에서 판이 받는 압력은 ρgh(단 g는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11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 연구결과는 2007년 5월 ‘네이처’에 발표됐다. 정 단장은 “체내
특정
부위에 AMPK의 활성을 올리는 약을 개발하면 일부 암에 항암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난치성 질환을 극복할 날도 머지 않았다”고 말했다.인터뷰_정종경 단장이방인에서 파킨슨병 연구 분야 세계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
과학동아
l
200811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부위를 잘라내고, DNA 연결효소는 DNA 제한효소에 의해 잘린 부위나
특정
염기쌍을 연결한다. 운반체는 재조합 DNA를 숙주세포나 다른 생물의 세포에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실제로 DNA를 복제하는 과정에서는 운반체로 플라스미드와 박테리오파지를 주로 사용한다.- 고등학교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11
미생물에 옮기는 과정을 클로닝(cloning), 좀 더 정확히는 분자 클로닝이라고 한다. 이렇게
특정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미생물을 클론(clone)이라고 부른다.유권열 교수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탠퍼드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유비퀴틴이라는 ... ...
종이 없는 지구의 주인, 전자문서
과학동아
l
200811
데 주로 사용된다. 가령 그림 어딘가에 미리 지정한 문자(워터마크)를 저장한 뒤
특정
한 소프트웨어로 검증 과정에서 이를 검출하도록 한다. 만약 조금이라도 원래 그림에서 변경된 부분이 있으면 그 문자는 검출되지 않아 그림이 원본인지 아닌지 알 수 있다.전자서명은 공개키기반(PKI) 방식으로도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10
사슬 부분은 최대한 물과 가까운 쪽으로 모인다. 이런 성질 때문에 막대-사슬 분자는
특정
한 조건을 주면 스스로 수십에서 수백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초분자를 만든다. 이런 현상을 ‘자기조립’(self-assembly)이라고 하며 이때 형성된 초분자를 나노조립체라고 한다.초분자는 어떤 힘으로 형태를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
과학동아
l
200810
즉 줄기세포가 분화해 뇌 신경세포를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어떤 단백질이 관여하는지,
특정
단백질을 조절하면 뇌암을 치료할 수 있는지를 밝히려는 것. 그는 또 “줄기세포 분화에 어떤 단백질이 관여하는지 알아내면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도 가능할 것”이라고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