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d라이브러리
"
스스로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06
그리고 관현악단이 할 수 있는 봉사활동을 기획한다. 3. 자신의 학업의 문제점을
스스로
분석해 학습 계획표를 작성하고 실행한다. 입시에서 자료로 제출할 수 있도록 분석한 내용을 문서로 만들어둔다. 4. 가고 싶은 대학의 홈페이지를 꾸준히 방문해 소식을 접한다. 입학사정관의 면접 시 유용한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6
스스로
를 지키기 위해 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우리 몸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스스로
를 지키는 방어 행위를 면역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 두 가지가 있다. 백혈구 같은 대식세포가 외부의 적(항원)을 먹어치우는 초기방어 행위를 선천성 면역, 외부의 적에 대항해 ... ...
사람은 성격으로 세상을 만난다
과학동아
l
201006
성격장애도 전문가의 도움과 자신의 노력으로 고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방법은 자기가
스스로
에게 어떤 신념을 갖고 있는지, 인간관계의 신념과 전략은 무엇이며 주로 느끼는 감정은 무엇인지, 단점과 장점은 무엇인지, 그중에서 어떤 면이 고착화돼 있는지 시간을 두고 하나하나 분석하면서 ... ...
효소 및 환경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006
풍부하고 문제해결 의지가 충만한 사람, 사회과학적 소양 및 호기심을 가진 사람,
스스로
새로운 과제를 발굴하고자 하는 의욕이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대학원에 진학하면 학부 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효소 및 환경생물공학에 대해 배우고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생명체가 아니라서 인공 생명체를 만들었다고 볼 수는 없다. 진정한 인공 생명체라면
스스로
의 힘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복제해 자손을 퍼뜨릴 수 있는 세포로 된 생명체야 한다. 따라서 인공 생명체는 가장 단순한 단세포인 박테리아 형태가 될 것이다. 인공 생명체로 가는 길에 꼭 넘어야 할 단계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05
RNA의 역할이 중요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명체가 탄생하기 전 RNA가 자신을
스스로
복제하고 RNA 사슬이 만들어지며 원시 리보솜으로 진화했을지 모른다는 내용이다. 그 뒤 펩티드와 단백질이 생성되고 이들 중 좋은 것만 살아남아 생명체가 탄생했을 것이다. ‘호기심 천국’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05
노력한 게 없다는 건 변명으로밖에 들리지 않아. 열정이 있다면 뼈를 깎는 고통도
스스로
감수할 수 있는 거야. 네가 꿈이 있다면, 거기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그만한 열정을 보여줘 야 하는 전형이 입학사정관제야.”선생님과 상담을 통해서 비로소 자신이 부족한 게 무엇인지 알게 된 K학생.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05
달릴 때면 어찌나 신이 나던지 아직도 그 느낌이 생생합니다. 마이크로 마우스는 미로를
스스로
탐색해 길을 찾는 소형 로봇입니다.노버트 위너 박사가 연구한 이론을 그대로 따라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만 움직이며 길을 찾아 냅니다. 처음 가는 길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반복해서 길을 가면 길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05
문제로 바꾸는 거지요. 문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수식이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지를
스스로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미지수의 값을 직접 구하는 연습을 하면서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방정식을 활용하기 위한 기본 학습이 될 수 있습니다.왼쪽은 ‘13-5=□’에 대한 식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05
그 효과를 제대로 알 수 있겠느냐는 주장이다.그런데 생명체가 굳이 생체시계를 마련해
스스로
행동을 제약하는 이유는 뭘까. 1997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퍼트리샤 드코시 교수는 생체시계가 파괴된 영양들다람쥐를 야생에 풀어놨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밤에도 겁 없이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