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
수학동아
l
201408
궁금해서 9년 동안이나 수학 잡지를 읽었다.7 Simon Brendle “이제 필즈상만 남았어요.”
사이
먼 브렌델 ♂국적 | 독일생년월 | 1981년 6월(만 33세)연구 분야 | 미분기하학소속 | 스탠퍼드대브렌델 교수는 미분기하학 분야의 떠오르는 스타다. 2006년부터 꾸준히 미분기하학 분야의 중요한 문제들을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수학동아
l
201408
수 있다.Science실제로도 인공 눈을 이식한 사례가 있다. 지난 4월 미국에서 최초로 세컨드
사이
트 메디컬 프로덕트(SSMP)사가 시각장애 환자에게 ‘아르고스 Ⅱ’란 인공 망막 시스템을 이식해 시각 기능 회복에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아직은 시각 기능을 돕는 정도일 뿐, 시각 능력을 재생할 만큼의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
수학동아
l
201408
풀 때, 풀이집에 적힌 순서대로만 문제를 풀지 않습니다.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과 정답
사이
를 오가며 찾아낸 각각 정보들을 연결하며 답을 찾아내죠. 이렇게 전체를 관찰하며 문제의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은 무수히 많은 정보 속에서 유용한 것만을 골라 활용하는 빅데이터 분야에 꼭 필요하답니다 ... ...
왼손잡이 남성 겨울에 더 많이 태어나
과학동아
l
201408
현상이 나타난 이유로 호르몬의 변화를 꼽았다. 겨울이 시작되기 6개월 전인 5월부터 7월
사이
에는 일조량이 높다. 높은 일조량은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량을 늘리는데, 이 호르몬 양에 따라 왼손잡이 비율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왼손잡이가 많은 것도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의 차이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08
담긴다.‘내가 양자컴퓨터다’라고 말할 수 있는 자 누구인가작년 3월, 미국 학술지 ‘
사이
언스’는 양자정보처리 특집을 마련했다. 양자컴퓨터의 기초 기술 중 가장 ‘핫’한 세 분야를 나란히 소개한 기사였다. 바로 이온트랩, 초전도, 반도체(정확히는 반도체 기반의 스핀트로닉스)였다. 모두 ... ...
“당신 인생 속의 χ”
과학동아
l
201408
대학교를 다닐 때 ‘미분방정식’이라는 과목을 들은 적이 있다. 강의에서 썼던 책에서 저자가 생활 속의 현상을 통해 수학을 배우면 효과가 좋다는 말을 듣고는 여러 가지 ... 변화를 주변 사람과의 관계로 나타낸 것”이라고. 아무래도 수학과 인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
인 듯하다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08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인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다. 고층 빌딩
사이
에서는 GPS신호조차 이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스스로 군집을 이루 는 시스템을 향후 연구할 계획이다. 군집로봇은 지금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뭉치면 강하다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08
일인지도 알게 됐다. 그들의 값비싼 경험을 잘 활용하는 것은 우주개발에 참여한 국가
사이
에서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의 우주인은 우주를 다녀온 뒤에도 우주여행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일에 대부분 종사하고 있다. 이소연 이후 제2의 우주인 준비해야이소연이 우주에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8
작아 가라앉지 않고 물 분자
사이
를 떠다닌다. 우유를 얼리면 이 분자들이 물 분자가
사이
에 끼어 들어 결정을 만드는 것을 막는다. 우유 얼음을 부술 때도 우유에 들어있는 분자 덕분에 쉽게 부서진다. 숟가락이나 포크로 갈 수 있을 정도로 무르다. 단점은 우유의 어는점이 물보다 낮다는 것. 이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08
문제는 자본주의의 발전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불평등을 적절하게 줄이는 방법이다.
사이
언스가 특집 기사를 실은 이유도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스 피케티가 쓴 ‘21세기 자본론’이 돌풍을 일으킨 게 계기가 됐다. 피케티는 “갈수록 커지는 부의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득세를 최고 80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