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52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서 레이저로 지구에 동영상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0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1GB(기가바이트) 용량의 데이터를 5분 안에 전송할 수 있는 레이저 광통신 기반의 우주통신기술 시연에 성공 ... 데이터 통신을 지금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며 “
기존
통신기술과 장비를 서서히 대체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포기하면 편해, 기억력은 타고 나는거야
동아사이언스
l
2014.01.10
기억력이 좋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김진현 박사는 “엠그래스프 덕분에
기존
방법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신경망 회로를 분석할 수 있어, 학습기억 습득에 선천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며 “이번 연구가 뇌의 특정 부위에 특화된 약물 및 새로운 뇌질환 진단법 ... ...
소비자 뇌 현혹시켜 주머니 열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0
중심으로 상품 및 고객 동선 배치, 판매전략 수립 등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기존
에는 이미 나와 있는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마케팅에 적용하는 ‘수동적’ 태도였다면, 최근에는 뇌파를 측정하거나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움직임을 관찰해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는 ‘적극적인’ ... ...
비명 알아듣는 ‘귀달린 CCTV’ 깔린다
동아일보
l
2014.01.09
직원에겐 눈앞의 수십 개 영상 중 하나일 뿐이어서 급박한 상황을 알아채지 못한다.
기존
의 CCTV는 관제요원이 해당 영상을 보고 있을 때만 실시간 감시 효과가 있어 이런 상황에선 무용지물이다. 그러나 이런 한계를 보완한 CCTV가 전국에 깔린다. 소리까지 감시하는 CCTV가 생기는 것. 안전행정부는 ... ...
“투모로우가 현실이 됐다”
동아일보
l
2014.01.09
미국 최대 도시인 뉴욕의 기온도 118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이날 뉴욕의 온도는
기존
최저치인 1896년 1월 7일의 영하 14.4도보다 낮은 영하 15.5도였다. 체감온도는 영하 25도로 곤두박질했다. 관광객들로 발 디딜 틈 없는 뉴욕의 관광명소 타임스스퀘어마저 텅 비었다. 주요 언론은 뉴욕을 강타한 ... ...
과학자에게 약속한 상금조차 아까운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중구 세종호텔에서 과학기술조정관(실장급)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에 대해
기존
수상자들은 행정적으로 사소한 문제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연구자의 사기를 꺾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1회 젊은과학자상 수상자인 KAIST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대통령이 직접 ... ...
줄기세포 키우는 나노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때 가장 잘 자랐다. 논문 1저자인 서울대 김장호 연구원은 “나노지지체를 사용하면
기존
환경에서 줄기세포를 키울 때보다 원하는 세포를 20~30% 더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다”며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만드는 성공률이 높아지는 만큼 부러진 앞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해 부러진 뼈를 ... ...
'인류의 폭주기관차' 지구 온난화, 예상보다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않은 채 몇 km만 상승하다가 다시 표면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기존
43개 기후 모델 중에서 기온이 적게 상승할 거라고 예측한 모델 대부분은 수증기가 비구름을 만들지 않고 다시 표면으로 돌아오는 경우를 다루지 않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수증기가 비구름을 ... ...
"외계인 있을까?" 지구와 무게 같은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행성을 찾아냈다. TTV는 최소 2개 이상의 행성이 항성 주위를 돌고 있어야만 쓸 수 있지만,
기존
방법보다 훨씬 정밀하다. 키핑 교수는 “KOI-314c는 지구처럼 질량이 작으면서도 거대한 가스형 행성(목성형 행성)의 특성을 갖고 있다”며 “행성을 암석형 행성(지구형 행성)과 가스형 행성으로 ... ...
“여성과학기술자상은 없어져야 할 상”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쉽게 깨져 상용화가 쉽지 않았다. 이에 손 박사는 나노기술을 이용해 온도를 낮춰도
기존
세라믹의 장점을 유지하도록 해 연료전지의 성능이 나빠지지 않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 맘대로 되는 것 없었지만 포기는 금물 “2005년 처음 KIST에 와서 했던 연구는 박사과정 때 연구주제와 전혀 ... ...
이전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1152
1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