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텔, 한국에 R&D센터 문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 관계자도 “새로 설립된 R&D센터의 연구 주제 대부분이 센터 설립에 앞서 실시된 실사
결과
에 따라 결정된 것”이라며 “개발된 기술의 시험 시설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다.한편 정부는 인텔 연구소 외에도 올해중 모두 6곳의 R&D센터를 국내에 유치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 연구소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하나로 선정한 근력 보조 슈트는 로봇 모양의 팔과 허리, 다리로 구성돼 있다. 실험
결과
20kg무게의 근력 보조 슈트를 입은 45kg의 여성이 68kg의 남성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었다.로봇 슈트의 원리는 버클리 다리 골격이나 HAL과 크게 다르지 않다. 팔과 무릎, 엉덩이 윗부분에 닿는 근육강도 측정센서가 ... ...
미래 문화 이끌 제품 기획하는 곳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숙련자 사이에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드러나는 것을 밝혀냈다. 이
결과
는 숙련자에게는 단축성을 제공하면서 초보자가 사용시 불편을 덜 느끼는 새로운 디자인의 휴대전화 개발에 활용됐다.한편 연구실은 소비자가 실제로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과 매우 유사한 상황에서 소비자의 ... ...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당시를 설명해줄 수 있는 기록인 지층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지자기학의 연구
결과
를 통해 당시 한반도가 어디에 위치해 있었는지는 알 수 있다.지층이 사라진 시기 이전에 한반도는 거대대륙인 곤드와나대륙의 변두리로 남위 10-20도 근방에 위치해 있었다. 대륙의 변두리에 위치했던 ... ...
07. 2천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분출된 탓에 바닷물에 의해 급격히 식고 깨지며 베개용암과 유리쇄설암을 만들었다. 그
결과
독도해산 위에 수중화산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바로 현재 섬으로 남아있는 독도 탄생의 순간이었던 것이다.독도가 물 밑에서 위로 올라옴에 따라 분출 모습은 점점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독도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반도도 제2의 히말라야가 대기순환을 차단해 매우 건조한 기후조건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한반도에는 사막화가 시작될지도 모른다.한반도의 사막화는 2억년 후까지도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때쯤에는 북미대륙이 유라시아대륙과 합쳐져 그 사이에 있던 현재의 가장 큰 바다인 태평양이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갖춘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으로서는 세계에서 유일한 장비인 셈이다.실제 성능시험
결과
실리콘웨이퍼를 3방향으로 기울여 각각의 이미지를 얻어냈다. 이 이미지에서는 0.136nm 간격으로 조밀하게 보이는 실리콘 원자까지도 구별 가능하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 사업을 이끄는 나노환경연구부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일리노이주 학생 2천2백59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학업성적 사이의 연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에서도 잠자는 시간이 적은 학생들의 성적이 중학교 3년 내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자신감도 많이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성적을 위해서라도 한숨 자고 공부하라’는 말이나 ‘5락 6당’이라는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시켰더니 뇌의 일부가 미세한 정도로 확장됐다. 인간의 뇌에서도 이와 비슷한 연구
결과
가 발표된 바 있다.새로운 사실을 배울 때마다 뇌의 미세한 구조가 조금씩 변하고, 이런 과정이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되면서 자아개발이 이뤄진다. 즉 인간은 일생 동안 신장이나 체중 같은 외형적 변화뿐만 ... ...
초콜릿 사랑한 물리학자의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좀더 이동하기 쉽고 이웃한 타원체와 더 많이 겹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이번 연구
결과
는 포장산업뿐 아니라 항공우주에 쓰이는 고밀도의 세라믹 물질을 디자인하는데도 응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발렌타인데이 전날인 2월 13일자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 ...
이전
1142
1143
1144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