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스페셜
"
하지
"(으)로 총 1,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가족의 재밌는 ‘과학캠핑’ 즐기기
KISTI
l
2014.07.02
의외의 즐거움을 준다. 곤충이라면 질겁하는 아이들도 숲에서 만난 곤충은 크게 무서워
하지
않고 호기심을 가진다. 밤에 늦게 자는 습관이 있다면 오전이 아닌 한밤중을 관찰의 시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모닥불이 꺼지는 12시 이후 하늘 곳곳에 떠 있는 별을 올려다보면 혼자서 누리는 고요함과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하는 기존 세 가지 뉴트리노와는 달리 불임 뉴트리노는 중력을 뺀 다른 힘들에는 해당
하지
않는 입자이기 때문에 그 존재를 규명하기가 난망하다. 그래서 미국 버지니아텍의 이론물리학자 패트릭 후버 교수는 “불임 뉴트리노의 존재를 증명하려고 하는 것은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과 같다”고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행동을 더 이상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습관화된 행동은 우리가 의식
하지
는 못
하지
만 변연계아래피질의 통제 아래 진행되는 것으로 변연계아래피질이 잠자면 습관회로도 꺼진다는 것. 따라서 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을 찾는다면 안 좋은 습관을 극복하는데도 큰 도움이 될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
KAIST
l
2014.05.26
현재 제 전문성의 가장 큰 밑바탕이 되었어요. 게임 때문에 학업을 소홀히 하는 실수를
하지
는 마세요. 지금은 열심히 공부하고, 나중에 업무에 충분히 활용하길 바랍니다. *본 콘텐츠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운동을 많이 해도 문제? 근육이 녹는 횡문근융해증
KISTI
l
2014.05.21
종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 운동의 강도는 서서히 높여야 한다. 특히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거나 오랜만에 운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환경도 고려해야 한다. 고온과 높은 습도는 횡문근융해증의 촉매 역할을 한다. 무더운 여름날 하는 마라톤이나 운동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터너증후군의 염색체. - 위키피디아 제공 그런데 X염색체불활성화가 설명
하지
못하는 현상이 있다. 바로 X염색체가 하나뿐인 여성이 보이는 비정상적인 상태다. X염색체불활성화에 따르면 어차피 X염색체 하나면 충분하므로 X염색체가 하나뿐이라도 정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런 ... ...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KOITA
l
2014.05.16
TV와 같은 원리다. 운전자는 실제 건물에 겹쳐 보이는 내비게이션을 보고 가면 된다. 익숙
하지
않은 운전자는 사고를 낼 가능성이 있어 아직 상용화되지는 않았다. 실용적인 정보라도 너무 많으면 뇌가 처리하기 힘들다. 자동차는 한 번에 제공하는 정보를 5개로 제한한다. 1950년 미국 하버드대 조지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
KAIST
l
2014.05.16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지만, 언제 상용화가 가능할지는 연구팀원들도 예측할 수 없다.
하지
만 긍정적인 것은 이미 또 다른 미생물의 대사공학에 의해 이번 네이처 논문에 발표한 결과보다는 향상된 결과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 들어오는 데 필요한 자질은? 어차피 깊이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아예 지구상에서 사라져버릴 수도 있다니 말이야.” “아빠…, 그… 그런…, 무서운 얘긴
하지
마세요. 이렇게 맛있는 바나나가 사라진다니요. 12년 평생 그렇게 무서운 말은 처음 들어봐요.” “슬픈 얘기지만 사실이란다. 최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바나나 불치병’, ‘바나나 암’이라고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즉 당시 이런 동물을 대상으로 추가 실험을 했더라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을 진행
하지
않았을 거라는 말이다. 생쥐가 실험동물로 쓰이기 시작한 건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영국인 생리학자 윌리엄 하비가 혈액순환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생쥐가 큰 역할을 했다. 그 뒤 20세기 들어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