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스페셜
"
몸
"(으)로 총 1,334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성숙한 조절T세포들은 혈관을 타고 온
몸
으로 퍼져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최근 아토피 같은 면역계 과민 질환을 타깃으로 한 프로바이오틱스 의약품이 나와 있는 것도 이런 경로를 통해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메르스 퇴원자의 분변을 채취해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
KISTI
l
2015.06.09
더 중요한 것은 바로 배터리다. 지금도 스마트폰 배터리의 수명 문제는 난제다. 항시
몸
에 착용해야 하는 웨어러블 기기는 두말할 것도 없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이 체온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영예의 그랑프리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기억하고
몸
이 얼어붙었다. 반면 아니소마이신을 투여한 그룹은 예상대로 공포조건에
몸
이 얼어붙는 비율이 10%에 불과했다. 대다수가 전날 충격을 까먹은 것이다. 그런데 기억상실에 걸린 줄 알았던 아니소마이신 투여 그룹에 파란빛을 쪼여주자 공포 반응을 보였던 것. 즉 공포체험 직후 ... ...
방사선 식품? 방사능 식품?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마치 태양빛과 태양의 관계와도 같다. 여름철 해변에서 하루 종일 햇볕을 쪼인다고
몸
에서 빛이 나오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방사선을 쪼인다고 해서 그 식품이 방사선을 내지는 않는다. 식품이 방사선을 낼 때는 식품에 방사능을 지닌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때 뿐이다. 물론 이러한 식품은 함부로 ... ...
나의
몸
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6.02
매일 가지고 다니는 물건에 결제 기능을 넣는다면 현금도 신용카드도 필요가 없다.
몸
에서 떨어질 새 없는 휴대전화에 결제 기능까지 탑재하는 것이다. 근거리에서만 인식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스마트폰에 장착하고 계산대의 기기에 갖다 대면 마치 신용카드를 긁은 것처럼 인식되는 ... ...
끈질긴 니코틴의 그림자, 3차 흡연의 공포
KISTI
l
2015.05.12
바로 아이를 안으면 아이에게 담배 연기를 뿜는 셈이다. 담배연기를 직접 맡지 않고도
몸
이나 옷, 카펫, 커튼 등에 묻은 담배 유해물질을 통해 흡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3차 흡연이라고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간접흡연, 즉 2차 흡연은 흡연자에게 근접해 있어 담배연기를 함께 맡는 것이다.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조-메이슨 자기홀극(모노폴)'이다. 자기홀극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미지의 입자다. 한
몸
에 언제나 N극과 S극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자석과 달리, 자기홀극은 처음부터 N극 아니면 S극 중 하나만을 지니고 있다. 1931년 양자역학의 창시자이자 입자물리학의 '대부'인 폴 디랙이 처음 아이디어를 ... ...
30대 꼬부랑 젊은이, 강직성 척추염 때문
KISTI
l
2015.05.05
만성 허리통증을 안고 사는 사람이 많다. ‘젊으니까 괜찮아’라는 과신보다 오늘만큼은
몸
의 신호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 또 강직성 척추염 환자는 당연하거니와 허리통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일하는 틈틈이 허리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잊지 말자. ... ...
거대쥐가 생태계를 습격한 사연
KISTI
l
2015.04.28
즉 ‘쥐의 섬’에 대한 사례들을 다수 제시했다. 또한 최근 영국과 스웨덴 등에서는
몸
길이 40cm가 넘는 거대쥐가 자주 출몰해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일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과연 지구 생태계의 미래는 마이티마우스(Minghty mouse)가 지배하는 쥐들의 천국이 될 것인가? 정확한 답은 먼 훗날이나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후두엽의 시각처리영역이 아닌 시각교차상핵(SCN)의 일주리듬조절영역으로 보내 우리
몸
이 지구의 자전에 맞춰 리듬을 유지하게 한다. 눈에서 막대세포/원뿔세포와 감광신경절세포가 분업을 한다는 사실이 2002년 밝혀진 뒤 이어지는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사실이 드러났다. 즉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