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취소
폐지
파기
처분
증여
양도
매각
뉴스
"
폐기
"(으)로 총 1,1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냅스 3차원 초정밀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2014.06.01
현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어떤 수용성 단백질이 다른 여러 단백질의 개수와 생산,
폐기
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것이 앞으로 남은 과제”라고 말했다. 네이처 제공 몸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사람이 그려져 있다. 폐, 간, 대장 등 여러 장기가 ... ...
그래핀
폐기
물로 다시 그래핀 제작?
과학동아
l
2014.05.13
구리촉매 기판 합성의 전해질로 사용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별도의 화학처리를 통해
폐기
해야 하는 물질을 재활용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그래핀 투명전극으로 LED와 태양전지를 만들어본 결과 기존 ITO 전극에 비해 성능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수영 ... ...
“한국형발사체에 핵
폐기
물 실어 우주에 격리”
2014.04.25
해결할 수 있다. 김 원장은 “발사체를 공중 폭발할 위험 없이 완벽하게 만든다면 핵
폐기
물을 안정된 우주공간에 실어 나르는 임무도 앞으로는 가능해질 것”이라며 “가격 경쟁력과 상업 발사를 비롯해 이 모든 것을 고려하는 완벽한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그는 이 책에서 색채는 단색 광선의 결합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뉴턴 광학은
폐기
해야한다며 색채 현상은 밝음과 어둠의 양극적 대립 현상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괴테는 “내 문학작품은 다른 사람들도 쓸 수 있는 것이지만 색채론만큼은 독창적인 불멸의 업적”이라고 자신했지만 ... ...
성인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성공, 그 의미는?
과학동아
l
2014.04.18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여겨져 10년 전 황우석 박사의 논문 조작 사건 이후로는 사실상
폐기
됐다. 하지만 이번에 차병원 연구진이 복제된 배아를 이용해 사람의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하면서 복제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터닝 포인트가 마련됐다. ● 성인 체세포로 배아줄기세포 만든 건 ... ...
적외선 렌즈, 뭘로 만들면 좋을까요?
과학동아
l
2014.04.07
해마다 700만t씩 배출되지만 가공하기가 어려워 쓰임새를 찾지 못한 채 처치 곤란한
폐기
물로 취급받고 있다. 연구진은 황을 녹여 유기물질과 섞으면 플라스틱처럼 손쉽게 모양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물질을 0.001~0.2mm 두께로 얇게 편 뒤 렌즈 모양으로 만들었더니 굴절률과 ... ...
버려진 나무로 전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4.06
비해 2배 이상 늘었고, 그래핀 전극보다는 4배나 증가했다. 박 교수는 “버려지는
폐기
물에서 새로운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다르다”면서 “바이오매스 분야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환경 분야 국제 ... ...
수정란에서 배아줄기세포 획득 성공
과학동아
l
2014.03.27
“이번 성과를 사람에게 적용한다면 시험관 아기를 얻는 과정에서
폐기
되는 수정란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수정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순 없을 거란 지적도 여전히 나오고 있는 ... ...
4대 메가 트렌드에 주목하면 미래 기계산업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4.03.24
생산공정인 ’와이즈(WISE) 팩토리‘로 진화 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래형 와이즈 팩토리는
폐기
물 배출이 적어 친환경 적이다. 쓰레기를 에너지로 바꾸는 ‘웨이스트 프리’ 기술, 인공지능화를 통해 경제성과 다품종 소량 생산을 동시에 만족하는 ‘인텔리전트’ 기술도 도입된다. 안전한 ... ...
쓰레기 종이로 플라스틱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4.03.17
없다. -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종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기
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 휴대전화 케이스까지 만드는데 성공해 화제다. 성균관대 고분자시스템공학과 남재도 교수팀은 펄프 산업 중 나오는 부산물인 ‘리그닌’으로 ‘리그닌 바이오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