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치료
치유법
교정법
처치법
뉴스
"
치료법
"(으)로 총 1,57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이 주도한 '한의학 세계화' 결실을 맺다…네이처 선정 올해 기사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증후군은 바쁜 생활에 지친 현대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병이다. 그러나 그 원인이나
치료법
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과학자들은 이제야 만성 피로 증후군을 연구하는 첫발을 내딛었다. 네이처는 과학자들이 만성 피로 증후군의 연구 역사와 크게 면역 체계와 대사 문제의 측면으로 나뉜 연구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2018.12.08
퍼듀대 약대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연구주제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기작과 면역 항암
치료법
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바 있다 ... ...
日도 희귀질환에 年 67억원 투자하는데...국내는 수십 분의 1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국가 주도로 만들었습니다. 그동안 찾지 못하던 질병 원인을 찾는 것은 물론, 새로운
치료법
과 약을 개발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마쓰바라 요이치 일본 국립어린이건강발달센터(NCCHD) 연구소장(사진)은 30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개최된 ‘대한의학유전학회 ... ...
동맥경화 발생 이유 새롭게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바탕으로 다양한 대식세포의 기능을 규명하면 동맥경화는 물론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심혈관분야 국제학술지 ‘써큘레이션 리서치’ 10월호로 게재됐다 ... ...
암 발생 유전자, 알고 보니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배양 기술을 확보한다면 알츠하이머성 치매나 파킨슨 질환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 교수는 “암세포와 정상줄기세포는 많은 세포 신호전달체계를 공유하고 있다”며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던 Ttyh1이 뇌의 정상적인 발달에 ... ...
손가락보다 작은 X선 암치료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가장 높아 세계적으로 매년 약 3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수술 및 약물요법 등의
치료법
이 있으나 수술은 흉터가 남을 수 있고 환부가 큰 경우 시행이 어렵고, 약물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방사선을 적절히 이용하면 큰 흉터 없이 수 분 내에 치료가 가능하고 효과도 높은 ... ...
과기관계장관회의 11년만에 부활…R&D 혁신 이번엔 성공할까(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일부에선 세계적으로도 난제로 꼽히는 치매
치료법
개발에 대해 정부가 너무 과도하게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서울 시내 대학의 한 교수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이겠다’는 목표는 정부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보건사업을 ... ...
[11년만 과기장관회의] 치매 발병 5년 늦추고, 환자증가 속도 절반으로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인해 비용은 63조9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치매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
을 마련하고자 기초 R&D 지원과 추진체계 인프라 구축, 기술 사업화라는 세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치매극복 R&D를 추진한다. 다양한 환경과 유전적 원인을 발굴하고 이를 ... ...
암세포 전이 과정-우주진화 연구…계산과학 새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예측할 수 있다. 7.5PF(페타플롭스) 이상의 성능 필요하다. 신약 개발, 암세포 전이 과정 및
치료법
연구 등에 활용된다. - 자료: 울산과학기술원 ● 세계 최대 규모 우주 진화 시뮬레이션 고등과학원은 5호기를 활용해 세계 최대 규모의 우주 진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계획이다. 물리학 법칙을 ... ...
RNA연구 핵심장비 '극저온현미경' 중국 대학 한곳에 6대…한국은 내년에 두 번째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있는 기술이다. 세포와 바이러스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손상 없이 관찰할 수 있어 질병
치료법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는 이를 개발한 세명이 노벨화학상 수상자에 선정되기도 했다. 김 교수는 “한국도 2019년에야 두 번째 극저온전자현미경을 IBS에 설치한다”며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