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72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채로운 우주전시 과학관에서 체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과 국립부산과학관(12월 13일~2020년 3월 1일)에서 순회 개최된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우주
연구실
인턴 체험 특별전’을 5일부터 8월 25일 개최한다. 학생들이 인턴 천문학자가 돼 4단계로 연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또 방학을 맞아 여름방학 과학해설 특별 프로그램도 30일~9월 1일 운영한다. 새로운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키 낮은 LED에 맞추면 키 큰 LED가 눌려 부서진다. 이 단장과 김재현 기계연 나노응용역학
연구실
장팀은 길이는 늘어나지만 힘은 더 증가하지 않는 특이한 특성을 지닌 메타물질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위에서 키가 다른 두개의 LED를 동시에 집기 위해 접근할 경우, 키 큰 LED에 닿은 부분에는 ... ...
거대한 MRI 장비 크기 절반 이하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책임연구원이 '스마트 인슐레이션'
연구실
에서 크기와 무게가 줄어든 초전도 전자석 모형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KERI 제공 평균 10t에 달하는 자기공명영상(MRI) 기기의 무게를 반 이상 줄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MRI의 큰 부피와 무거운 무게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을 겪던 병원들에 도움이 될 ... ...
섬유 실을 발열소재로 만드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KIST)은 구종민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센터장과 박철민 연세대 나노고분자
연구실
교수 공동연구팀이 2차원 나노 신물질 ‘맥신(MXene)’을 이용해 유연하고 대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발열 소자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전기에너지를 통해 열이 나는 발열 소자는 의료기기나 헬스케어 분야에 ... ...
"초연결軍 시대 온다는데 보안문제 앞에 한없이 작아지는 한국군"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전투력이 강화될 날이 곧 옵니다." 박혜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국방신뢰인프라
연구실
실장은 26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2019년 1차 코리아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에서 통신기술의 발전이 낳을 초연결 기술과 미래 전장의 변화를 이렇게 설명했다. 육군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판매할 준비를 마무리했으나 제품 성능 향상을 위해 현재 베타테스트중”이라며 “
연구실
에 있던 기술로 장애인들에게 도움을 주는 상용화 현실화가 조만간 가능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앞두고 시연(김민수 기자 제공) ... ...
얼음거품 속 휘날리는 눈꽃,'와인의 눈물'과 같은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거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모습이다. 파자드 아흐마디, 크리스티안 킹젯 제공
연구실
의 영하 4도의 냉동 창고 속에서 실험한 결과 연구팀은 이 현상이 '마랑고니 효과' 때문임을 알아냈다. 마랑고니 효과는 액체의 표면 장력이 온도나 다른 액체와 섞임 등으로 인해 차이가 나며 발생하는 ... ...
中하이얼 부사장 "IoT는 디지털변환 이끄는 원동력, 데이터가 그 연료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코엑스 호텔에서 열린 ‘미국 컴퓨팅기계협회(ACM) 모비시스(Mobisys) 2019’에서 ‘IoT,
연구실
에서 세상으로’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며 “제조 산업도 순수 제조업에서 서비스와 디바이스를 합친 하이브리드 업체로 '디지털 변환'을 겪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디지털 변환은 인간들이 더 많은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한반도는 당뇨병뿐 아니라 전 의학분야에 걸쳐 지구상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중요한
연구실
이 될 수 있다. 남북한 사람들은 유전적으로는 매우 가깝지만 근 70년 동안 교류가 없었고 전혀 다른 환경에서 살아왔다. 환경이 유전자 발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지금도 ... ...
'외국에선 워라밸 따지는데'…입학 전 교수 인품부터 보는 한국 대학원생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공개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일부 전문가들이 대학원 지원자들이
연구실
내부의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는 지표들(이탈률이나 졸업률 등)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김박사넷' 등 익명의 사이트가 개설돼 내부의 평을 가감없이 들려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