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뉴스
"
손상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가볍게 앓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연합뉴스
l
2021.12.21
억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염 후반에 덱사메타손을 투여하면 이미 기관을
손상
하기 시작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줬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에센 세피크 박사후연구원은 "감염 초기의 강한 면역 반응은 코로나19 환자의 생존에 필수적이다"면서 "하지만 감염 후반의 강한 면역 반응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FDA) 승인 신약 온파트로 (시약성분명 파티시란)를 출시했는데, 온파트로는 희귀 신경
손상
질환의 일종인 유전성 ATTR 아밀로이드증을 표적으로 개발되었다. 유전성 ATTR 아밀로이드증은 TTR이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희귀 질환인데, 변이된 TTR 단백질의 축적으로 심근계 질환을 일으키는 ... ...
우주 날씨 관측하는 세계 첫 나노위성 편대 '도요샛' 내년 상반기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달라진다. 이런 우주 날씨 변화는 위성통신 교란이나 위성항법시스템(GPS) 오차, 전력망
손상
등을 유발한다. 태양풍 입자와 지구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이해될 뿐 아직 우주 날씨 변화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중량 10kg 이하의 소형위성인 4기로 구성되는 도요샛은 지구 북극과 남극 ... ...
[과기원은 지금] KAIST·화학연, 구조색 인쇄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경우 흑연보다 용량이 10배 커진다. 다만 충방전 중 부피변화가 심해 소재에 기계적
손상
이 발생하는 게 문제로 꼽힌다. 연구팀은 새로운 합성기술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13일 공개됐다 ... ...
미세먼지 탄소입자 구조가 뇌건강에 미치는 영향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2
해도 구조에 따라 생체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뇌
손상
에 관여하는 핵심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진은 탄소 미세머지와 유사한 다양한 차원(0~3차원)의 탄소 나노재료를 합성해 국내 초미세먼지 기준 ‘나쁨’에 해당하는 농도(50㎍/㎥)로 ... ...
오미크론 변이 백신 회피력 있지만...3차접종 받으면 중화항체·세포면역 효과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1.12.11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레드 연구원은 “T세포 반응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손상
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
우주인 안구 압박 해결할 침낭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0
절반 이상이 겪는 안구 질환이다. 안구 뒤쪽이 평평해지고 시신경 부종이 생기며 시력
손상
등이 나타난다. 2011년 처음 발견됐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과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았다.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우주 공간에서 신경안구증후군을 막을 음압 장치를 만들고 그 ... ...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지방 공격한다…비만 중증 위험 높은 이유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체지방 내에서 지방세포와 특정 면역세포를 모두 감염시키고 인체의 면역시스템을
손상
시키는 반응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보도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필립 셰러 미국 UT 사우스웨스턴메디컬센터 교수는 “결론적으로 바이러스가 지방세포를 직접 감염시킬 수 있다는 것”이라며 ... ...
몸속 세포 배양 환경 모사한 플라스틱 접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쥐에게 배양한 근육세포를 이식한 결과, 근육 재상과
손상
된 근육 주위 신생혈관 생성량이 기존 플라스틱 접시에서 배양한 근육세포 대비 최대 5배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한 선임연구원은 “같은 시간에 배양 시간이 5배 줄었다는 의미”라며 “배양 비용도 확실히 줄 ... ...
양자물질 전자기적 성질 조절하는 차세대 광소자 기술 세계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삼황화인망간에 1m당 10억V 이상의 강한 빛을 가했다. 이 물질에 강한 빛을 쬐면 발열이나
손상
이 발생할 수 있어서 이전까지는 1m당 1000만V 이하의 약한 빛에서만 실험이 이뤄졌다. 실험 결과, 물질의 광학적 성질이 크게 바뀌는 것을 확인했다. 또 구조 계산을 통해 실험값과 이론값이 일치함을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