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784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모셋, 다른 원숭이 간 상호작용 "대화"로 엿듣고 행동에 반영
연합뉴스
l
2021.02.04
원숭이 간에 상호작용하며 내는 소리를 들을 때의 반응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으며, 코
부위
의 온도 변화도 상호작용하며 내는 소리를 들을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Judith M. Burkart, UZH 제공] 논문 제1 저자인 박사후보 라헬 브뤼거는 "이는 마모셋이 다른 원숭이의 독백으로 부터대화를 ... ...
“18세 이하 확진자 9% 미만”…유치원·초등학교 등교 재개에 힘 실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낮고, 혈전 발생 가능성도 적다”며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해 세포에 달라붙는
부위
인 수용체의 분포도 어린이와 어른이 달라 어린이가 코로나19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올해 1학기에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 ...
[랩큐멘터리]붙이고 출력해서 만드는 맞춤형 인공장기의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줄기세포를 주사하는 치료법이 쓰였는데 패치 형태로 더 많은 줄기세포를 아픈
부위
에 직접 붙일 수 있도록 했다. 몸 밖에서 장기와 비슷한 환경을 구현하면 다양한 응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약물을 시험하는 자그마한 조직을 개발하거나 환자 각각의 조직을 그대로 구현해 ...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계속 출현할 것. 새로운 백신 계속 개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 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는
부위
다.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일어나면 ACE-2와의 결합력이 강해져 감염력이 높아질 수 있다. 해외에서는 역학 조사 결과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분석은 ... ...
“항체치료제 '기적의 약' 아냐"..."변이 등장했는데 집단면역 목표 조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앞둔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도 항체치료제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세포 결합
부위
에 대신 들러붙어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를 막는 원리다. 셀트리온은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에 존재하는 중화항체의 유전자를 선별하고 채취한 뒤 이를 대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렉키로나주를 개발했다고 ... ...
"위험한 행동 하는 사람, 뇌가 다르다"
연합뉴스
l
2021.02.02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밖에 의사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
인 소뇌의 회색질 용적도 두 그룹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위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조절하는 편도체, 보상이 이루어질 때 활성화되는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도 마찬가지였다. 회색질 용적의 ... ...
동물 행동 조종하는 ‘뇌세포 리모컨’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뇌 신경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 중추 신경계가 몸의 각종
부위
를 움직이게 하는 원리다. 세포막을 관통하고 있는 이온 채널은 이온이 드나드는 통로 역할을 한다. 천진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이 이달 28일 오전 10시 서울 연세대 IBS관에서 브리핑을 ... ...
인공 뇌 신경회로 분석할 3D 전극시스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동시에 측정해 뇌 신호 전파속도가 뇌세포가 많은
부위
보다 신경세포 가지가 많은
부위
에서 빠른 것을 밝혀냈다. 조 책임연구원은 “실제 뇌에서도 뇌세포만 있는 부분과 뇌세포가 없는 부분이 있는데 어디서 더 신호 전달이 빠를지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스템을 활용하면 복잡한 인공 뇌 ... ...
[Q&A]'확진자도 백신 접종 받나요' 코로나19 예방접종에 관한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관리가 되나 모든 백신은 생물학적 특성상 접종 후 접종
부위
에서 나타나는 국소적인 반응과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감시체계를 강화하여 일반적인 신고체계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이상반응 ... ...
'차세대 항암 치료제' 면역세포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한다
연합뉴스
l
2021.01.28
암세포를 인지해 결합한 뒤 면역 시냅스(immunological synapse, 시냅스는 신경세포 간 연접
부위
를 말함)를 만들어 물질을 전달하고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세포 사이의 거리 등 면역 시냅스 정보는 T세포의 활성화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