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편"(으)로 총 5,0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신호를 해석해 로봇 팔에게 팔을 움직이라는 명령을 내려,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된다.한편 미국 듀크대 연구진들은 뇌와 컴퓨터 간의 기술을 뛰어 넘어 뇌와 뇌 사이의 통신 기술인 ‘뇌-텔레파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2013년 쥐들의 뇌에 미세 전극을 삽입하면 서로 수천 킬로미터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자신의 저서 (1657)에서 sin, tan뿐만 아니라 ‘sec(시컨트)’의 기호도 사용했다.한편, 코사인(cosine)은 ‘complementary sine’의 준말로 ‘여각의 사인’이란 라틴어 ‘cosinus’에서 유래됐다. 코사인의 cos이란 기호는 1729년 스위스의 수학자 오일러가 처음 사용했다. 물론 오일러 역시 cos을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짝짓기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들이 속한 무리에서도 건강한 새끼가 태어날지 주목된다.한편 삼팔이는 서귀포시 성산항 가두리에서 야생 적응 훈련을 받던 2013년 6월 22일, 홀로 그물을 빠져나갔다. 위치추적장치나 번호를 달기전이었다. 하지만 등지느러미 모양을 통해 삼팔이가 2013년 6월 25일과 2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폐기된 것은 큰 불행이었지만, 기도서로 바뀐 덕분에 온전히 보존될 수 있었다는 점은 한편 다행이었다. [중세 기도문(왼쪽)과 그 안에 숨겨져 있던 아르키메데스의 ‘방법’.] 덴마크의 문헌학자 하이베르그(1854~1928년)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이 논문을 발견했다. 그는 중세 기도서가 새겨진 ... ...
- 쓰레기가 예술이 되다! 정크 아트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피부색과 비슷하고 실제 코르크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때문에 인물의 부피감도 살아 있다.한편, 원두 커피를 마시면 커피를 내리고 남은 찌꺼기가 발생한다. 커피 찌꺼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일반 쓰레기로 소각하거나 땅에 매립한다. 이때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가 발생되면서 지구온난화를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수치는 9로, 11명 중 무려 9명이나 서로 간에 모든 패스를 주고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스페인처럼 조직적인 축구를 한다는 점은 비슷하지만, 패스의 수는 훨씬 적었다. 완전그래프★ 그래프를 이루는 모든 점이 나머지 모든 점과 연결된 그래프.6.23 알제리 vs 대한민국,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코넬리 교수는 거미줄이 가볍고 안정된 구조라는 점에서 텐세그리티와 같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다른 점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우선 거미줄 구조는 압축재는 없이 인장재로만 이뤄져 있고, 또 텐세그리티에는 없는 고정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 고정점은 거미줄 구조의 가장자리에 있어 지지대 역할을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기울이고 있다. 과도한 걱정은 오히려 소모적이고 피로한 논쟁만 일으킬지도 모른다. 한편 과학에는 제동도 필요하기에, 일부 인류학자와 과학자의 주장대로 이들이 갑자기 생물학적 인종 이야기로 ‘튀고’ 그게 다시 차별적인 인종주의를 불러올 가능성은 경계해야 한다.과학은 그 동안 차별적인 ... ...
- 세계 최대 사장교 러스키교에서 ∠, △, ⊥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표현하기 위해 ∠AOB나 △ABC라고 쓰지만, 헤리곤은 ∠abc, △abc와 같이 소문자를 사용했다. 한편, 헤리곤은 1634년 〈수학 강좌〉책에서 두 직선이 서로 수직임을 나타내는 기호 ⊥를 처음으로 사용하기도 했다.이렇듯 각도, 삼각형, 수직을 표기하기 위해 여러 수학자들이 기호를 만들었지만, 현재 ... ...
- 정육면체의 180˚ 변신 장미 큐브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대수학과, 추상공간에서 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위상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한편 야생 장미의 잎차례는 피보나치 수를 따른다. 식물의 90%는 나선형 잎차례인데, 야생 장미는 줄기를 3바퀴 도는 동안 잎이 8장 생기는 3/8나선형 잎차례다. 이때 3과 8은 0과 1로 시작하여 앞의 두 수를 더한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