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성"(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 자체가 특이한 존재다. 중성미자는 스핀(질량, 전하량처럼 입자가 가진 고유한 특성) 방향이 늘 한쪽으로만 향하는 이상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표준모형은 그 현상을 설명할 뿐 왜 그래야만 하는지 이유는 모른다. 심지어 중성미자가 입자와 반입자로 구분이 되는 것인지(디랙 중성미자), 아니면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특성에 맞게 손으로 수직인 면, 평행한 두 면을 만져보면 학생들이 입체도형의 특성을 쉽고 재밌게 익힐 수 있습니다.이때 학생들은 입체도형에서 ‘밑면’이라는 용어가‘아래에 있는 면’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밑면의 뜻을 정확하게 설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밑면은 밑에 있다는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논문에서 ‘아이소스핀’과 ‘하이퍼전하량’이라고 부르는 핵자의 양자수(입자의 특성)가 결합한 뒤 결국 낮은 에너지에서 전자기력과 약력으로 분화한다는 놀라운 구조를 밝혀냈다. 그가 이 과정에 ‘힉스 입자’가 관련된 메커니즘을 도입하면서, 물리학자들은 이미 45년 전부터 힉스 입자가 ... ...
- Part 1. 조류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닭으로 만들어!닭은 뾰족한 발톱과 발 뒤에 달린 며느리발톱, 날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특성 등 공룡을 연구하기에 딱 좋은 외형을 갖고 있어요. 이 때문에 수각류 공룡의 근육과 생태를 복원할 때 닭의 모습을 본뜨는 경우가 많아요.칠레 산티아고국립칠레대학교 브루노 그로시 교수팀은 아예 ... ...
- Part 2. 닭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건 아니었을 거라고 추측해요. 발톱을 이용해 싸움용으로 길들이거나, 아침에 우는 특성을 바탕으로 귀신을 쫓는 수호신으로 삼았다는 거지요. 하지만 곧 닭을 식량으로 삼았고, 고기를 얻기 위해 통통한 닭을 골라 키우기 시작했죠. 이후 닭은 살이 많은 가슴 부위가 발달하게 됐고, 결국 날기 ... ...
- [과학뉴스] 히말라야에는 재채기하는 원숭이가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그래서 비가 올 때마다 빗방울이 콧구멍 속으로 들어가 매번 재채기를 해요. 이런 특성 때문에 이 원숭이는 비가 올 때 유독 찾기가 쉽답니다. 이 원숭이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비가 오는 날엔 무릎 사이에 얼굴을 박고 있는 습성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요.리빙 히말라야 2015년 보고서에는 ...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오목한 부분에 닿는 빛이 거울의 안쪽으로 반사되어 한쪽으로 모이게 돼요. 이런 특성 때문에 빛이나 열을 모을 때 오목거울을 많이 써요.3. 작은 별빛도 모으는 렌즈와 거울의 힘!이번에는 흐릿한 벽화 속에 남은 인물을 만나 볼까요? 코안경을 쓰고 무언가를 열심히 쓰고 있는 사람은 13세기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지상으로 전파를 쏘아 보내는 것 이상으로 복잡한 기술이 필요해요. 우주라는 공간의 특성 때문이에요.가장 큰 문제는 거리예요. 예를 들어 지구에서 화성과 통신한다면 한 번 신호를 보내는 데 최대 22분이 소요돼요. 스마트폰 메신저로 “ㅋㅋ”, “ㅋㅋㅋ”라는 대화(?)를 주고받는 데 40분이 넘게 ... ...
- 이미지 보정, 이젠 바로 들통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이미지 압축과정에서 파일의 형태가 달라져요. 이 교수팀은 보정 후 달라진 사진의 특성을 알아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프로그램을 만든 거죠.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어떤 조작 방법을 썼는지까지 알 수 있답니다.연구팀은 지난 11일부터 forensic.kaist.ac.kr 에서 웹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어요.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기대하고 있다.펭귄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이처럼 상세하게 연구하는 목적은 뭘까. 생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지구온난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서다.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이 서식하는 남극대륙은 지구상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빨리 받는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