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WoW!’ 속 사랑에 빠진 ‘나’는 사각형처럼 안타까운 결말을 맞게 될까요, 아니면 차원을 극복하고 사랑을 이루게 될까요? 하지만 이것만은 분명합니다. ‘플랫랜드’가 당시 영국 사회를 비유적으로 반영했듯 ‘WoW!’ 역시 순수한 사랑을 멋지게 표현 했다는 사실입니다! 혈관 속 DNA, 있을까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시간이 지나면 퍼시 교수가 제안한 다트 보드보다 좋은 다트 보드가 나올 수도 있겠죠? 차라리 눈을 감고 던져라!2011년 카네기대학교 통계학과 연구팀은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정확도가 낮은 초보자에게 다트 100발을 던지게 한 뒤 한 발당 평균 점수를 내보니 약 11.65점이 나왔어요. 그런데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한편 그로텐디크는 느리지만 납득할때까지 혼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이런 차이 때문일까? 그 집단의 지식인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지만, 그로텐디크는 현대 수학을 완전히 바꿔놓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로텐디크는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ES)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런데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격성을 보이지 않더라도 세상의 모든 개가 받아야 하는 의무교육에 가깝다. 자동차를 탈 때 조금 불편해도 안전벨트를 매는 것 처럼, 어린이가 찻길을 건널 때 엄마의 손을 잡고 건너는 것처럼, 주변 사람들과 그 개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사고는 순간이다. 또 입마개 교육을 해두면 동물병원에서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 의미를 밝힌 것이다(60여 페이지에 걸쳐 정말 어마어마한 수식이 등장해 읽을 엄두조차 나지 않았다). 호킹이 주목한 것은 팽창하는 우주에서 나타나는 섭동이라는 크고 작은 변화였는데, 이전에도 그에 대해 분석한 학자들이 있었지만 물리적으로 명확한 의미를 끌어내지는 못했었다. 호킹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왜 상반된 역할을 하는 억제 단백질까지 만들어낼까요? 답은 노들과 레프티의 분산 속도 차이에 있습니다. 레프티는 노들보다 더 빨리, 더 멀리까지 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아에서 왼쪽에 있는 세포들이 노들과 레프티를 동시에 생산해 내고 두 단백질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퍼져나갈 때,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피어난다. 곤충학자들은 이 세계에 수백만 종의 곤충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정신을 차려 보니 정 박사의 목소리가 아득하게 들렸다. 통화하다 말고 왜 가만히 있냐면서 뭐라고 하기에, 요즘 좀 피곤해서 그렇다고 적당히 답해 주었다. 계시처럼 떠오른 생각을 그대로 마음속에 묻어둔 채. 정말로 좀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문제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2011년부터 북한 지역 백두산을 네 차례나 오르며 북한 과학자들과 공동으로 백두산을 연구해온 화산학자다. 2016년에는 북한 측 백두산 지하에 용융 상태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15일자에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필요한 만큼 나눠 쓰기 때문에 협력 연구에 장벽이 없다”고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업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 경험한 만큼 연구소의 모든 조직과 구조는 협업을 장려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인터뷰를 마치기 전, 그는 기자에게 LMB에서 함께 일했던 한국인 동료 이야기를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의 계산값에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관측소의 지리적인 분포와 사용된 자료의 양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미국은 전 세계 1000여 개 관측소에서 측정한 지진파로 지진 규모를 계산하지만 한국은 국내에 설치된 수십 개의 관측소에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한다. 잦은 지진으로 데이터를 많이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