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 1지"(으)로 총 3,5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요동치는 플라스마를 감금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이 가운데서도 ... 위해서는 이런 난류를 어떻게 억제하는가가 관건이다.플라스마 ... 동서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제트기류가 위도대마다 공기 덩어리를 분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트기류가 약해지면 북극에 감금돼 ... 대대적인 한파의 원인이다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각하고 있었다.“이제 끝냅시다.”크뤼천이 ... 갑작스런 그의 제안에 회의 주제는 인류세로 전환됐다. 이어진 휴식 시간에도 주요 화제는 단연 인류세였다. ... 대한 특허를 내라고 제안까지 했다.그 뒤 지난 1 ... 타당한지, 타당하다면 언제를 인류세의 시작시기로 ... 그리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데 레이저가 많이 쓰이는데, 레이저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요?정윤찬 레이저는 제멋대로 움직이는 빛 가운데 특정 방향, 특정 위상으로 움직이는 빛만을 걸러내 ... 마하 7, 8 정도인데 레이저는 빛의 속도니까 날아오는 미사일을 놓칠 확률이 훨씬 적죠. 제가 이런 방어체계를 만드는 것은 아니고,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윈도우 같은 운영체제나 한글프로그램 같은 오피스는 ... 따라서 온라인 게임을 만들면 제가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 것 ... 게임 개발을 하고 있지요. 또 제가 만든 첫 상업 게임이기도 ... 정상원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제 경력의 시작점입니다. 제가 기획한 첫 게임 ... 그런데 신기하게도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신경을 썼다. 하지만 실제로는 낮에 딱히 할 일 ... 사실을 깨닫고, 이제는 우주선도 우주도 만날 ... 교신에 필요한 인력을 제외하면 우주로 나갈 만한 ... 그가 소금의 말을 처음 제대로 들어 준 것은 ... 광산이라 그런지 언제나 진동과 소리가 ... 구조와 작동방법도 이제는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위한 유일한 단서가 된답니다.뼈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요. 실제로 과학수사대는 사건 현장에서 뼈를 발견했을 때 사망자의 신원을 ... 척주를 비교했을 때, 동물의 극돌기가 사람보다 훨씬 튀어나와 있어요.실제로 과학수사대원들은 신체 각 부분의 뼈 모양과 이름을 배우고, 조립도 ... 저지른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6단은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제2국은 바둑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한 판”이라며, “특히 포석★ ... 밝혔다.하루 쉬고 3월 12일에 열린 제3국도 이세돌 9단의 패배였다. ... 조심스럽게 점쳐지는 상황에서 제4국이 시작됐다.[돌을 던지다★ ... 끝나지 않은 도전세기의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주로 연구해요. 쉽게 설명하자면, 문제 자체는 간단해도 풀기는 어려운 ... 현상을 관찰하고, 특징을 찾아내 문제를 풀어간다는 점에서 수학은 다른 ... 게 기억에 남아요. 그렇게 생각하면 문제를 좀 더 재미있게 풀 수 있거든요.아, 대학원생 때 강의 도중에 교수님이 문제 하나를 못 푸셨던 적이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제주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섬입니다. 제주 올레는 이 아름다움을 ... 합니다.‘올레’는 제주 방언으로 ‘거리에서 ... 뜻하는 순우리말 ‘오래’가 제주에서 ‘올레’로 굳어진 ... 올레를 따라 걷다보면 제주도를 한 바퀴 돌 수 있습니다. ... 광치기 해변에 이르는 제 ...
- [과학뉴스] ‘좀비’ 된 청개구리, 더 매력적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만든다는 것이다. 항아리곰팡이 전파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3월 1일자에 게재됐다.하지만 논문의 제1저자인 안득남 서울대 생명과학부 연구원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출판된 것을 보지 못했다. 2014년 7월 8일 유방암으로 세상을 떠났기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