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용"(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힘이 동심원 골절을 만들지만 고속 충격을 받은 경우에는 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골절이 생기기 때문이다.뼈에 충격이 비스듬히 가해지는 경우 힘의 진행 방향으로 방사형 골절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머리뼈에 나타난 방사형 골절이 모두 타격 지점을 기준으로 오른쪽을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컴퓨터공학만으로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며 “행동은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유기체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 ...
- [과학뉴스] 오로라의 원인 ‘자기 재결합’ 첫 관측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재결합 현상을 포착했다고 밝혔다.자기 재결합은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큰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이론적으로만 알려져 있던 자기 재결합을 실제 관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4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MMS는 피라미드 대형으로 지구 궤도를 돌며 25개의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세계를 탐구한다. 다양한 원자핵을 만든 뒤 환경에 따라 이들이 어떻게 변하고, 어떤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정 단장은 “인간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이루는 원자핵에서 시작해 원자가 모인 분자, 분자가 모인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며 “나노 과학으로는 기껏해야 분자보다 큰 세계만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고전적인 의미의 직접 적합도가 아니라!)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함을 입증했다. 눈의 시력을 좋게 해서 야밤에 절벽에서 추락하지 않게 해주는 형질처럼, 사회적 행동과 상관 없이 당사자의 적합도에만 영향을 끼치는 유전자의 경우는 상대방과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적혈구의 산소 운반 기능만을 대체할 뿐 혈액응고인자와 혈소판이 하는 지혈작용은 할 수 없다. 인공혈액은 1200mL 이하의 출혈이 있을 때 응급 치료에만 이용될 전망이다.전자 의수근육에 흐르는 전기 신호(표면 근전도)로 사용자의 의도를 알아내 로봇 손에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200 ... ...
- [과학뉴스]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정확한 이론이라는 게 증명된 거예요.빛은 시공간 속에서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을 하며 왜곡되기도 하지만 중력파는 시공간 자체가 일렁이는 것이기 때문에 왜곡되지 않아요. 따라서 중력파는 발생되었을 때의 정보를 고스란히 가지고 있답니다. 즉, 중력파는 온갖 별들의 역사를 고스란히 지니고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5)에서 “수중음향을 관측하면 빙하의 이동이나 빙산 충돌, 조수 흐름, 퇴적물 이동, 바람 작용 등을 감지할 수 있다”며 “육상에서 이뤄진 관찰 결과와 통합하면 빙상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런 연구를 하는 이유는 기후 변화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다. 2014년 ... ...
- [Tech & Fun] 고담(GOTHAM)의 ‘풍선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잘 알고 있는 열기구입니다. 열기구는 풍선 안의 공기에 의한 부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기구가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수직으로 이동시키려면 열기구 안의 버너를 이용해 공기를 뜨겁게 만들면 됩니다. 뜨거워진 공기 입자들은 움직임이 활발해져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합성한 뒤, TNT를 감지하면 광합성과정에 관여하는 ‘원엽록소 산화환원효소’의 작용을 막도록 회로를 설계했다. 이 유전자 회로는 담배식물(tobacco)에 이식됐다. 사람이 육안으로 잎의 변화를 알아채기까지는 하루 정도가 걸린다. 이 식물은 23ppb의 TNT, 즉 물 1kg에 TNT가 0.000023g만 있어도 감지한다.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