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d라이브러리
"
영역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연구팀은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탄소나노튜브로 3겹의 벽을 쌓으면 테라헤르츠
영역
의 빛을 99% 이상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협회 저널 ‘나노레터스’에 실렸다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적용해 최종 선발한다. 2012학년도 정시모집 1단계 수능 합격선이 의예과는 542점(전
영역
만점자의 총점이 548점 정도)으로 매우 높았다. 중위권 학과는 530점, 하위권 학과는 518점 정도였다. 이렇듯 서울대 정시 논술은 수능 고득점자가 보는 시험이기 때문에 비교적 어렵다. 2012학년도 서울대 정시 ... ...
교차로 신호 체계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연구할 만한 소재들이 널려있다.일상 속에서의 주제 선정대수학 분야나 기하학 등의
영역
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 대부분이 순수 수학에 대해 포트폴리오를 만드려고 노력한다. 물론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여러 가지 수학 이론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작성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의 내용도 ... ...
[시사] 수학으로 드림하이~! 꽃미남밴드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끈이다.음악을 배운 학생들의 뇌량이 커진 이유는 뭘까? 음악이 감성을 표현하는 우뇌의
영역
에 속하지만, 수학의 논리적 지능을 지배하는 좌뇌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피아노를 칠 때, 악보를 보며 오른손과 왼손을 동시에 다르게 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양쪽 뇌가 동시에 다른 정보를 ...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바뀌었는지 김홍수 선생님에게 물었다.“지금도 봉사활동은 합니다. 바뀌기보다는
영역
이 넓어졌죠. 봉사활동을 하면서 갯벌탐사도 했어요. 그러면서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죠. 학교가 파주에 있어서 비무장지대(DMZ)에서 학교를 다니는 학생도 있었어요. DMZ를 보면서 환경 보전이 중요하다는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소리는 16~20000Hz(헤르츠) 정도의 주파수
영역
이다. 이 주파수
영역
을 가청주파수라고 한다. 그렇다면 모든 동물이 사람과 같은 가청주파수를 갖고 있을까?햇빛이 닿지 않는 깊은 바다에서 사는 돌고래에게 청각은 시각보다 더 중요한 감각이다. 돌고래는 스스로 소리를 낸다.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X선을 관측해 감마선폭발의 방향을 측정한다. 다른 하나는 자외선/가시광선
영역
을 관측하는 추적망원경 SMT(Slewing Mirror Telescope)이다. 여기에는 UBAT가 알려주는 감마선폭발의 방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한 15cm의 반사경이 장착돼 있다.유포 우주실험의 핵심 관측기술이 바로 광 경로를 고속으로 바꾸는 ... ...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넓은
영역
을 서치라이트로 한 줄씩 훑어보는 광경을 상상해 보자. 서치라이트가 비추는
영역
을 한 점이라고 생각하면 가로로 훑어서 한 줄의 영상을 찍고, 또 조금 내려서 한 줄을 찍는 과정을 반복해 넓은 영상을 얻는 식이다. 영상을 한 번에 찍을 수 없어서 정지한 물체나 똑같이 반복할 수 있는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미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한편 감마선폭발은 우주 초기부터 전
영역
에 걸쳐 관측되고 있는데 80억 년 전 부근이 피크다. 즉 우주의 진화에서 별이 활발하게 만들어지던 시기(50억 살 전후)에 감마선 폭발도 가장 많이 일어난 것. 임 교수는 “감마선폭발이 일어나려면 별의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10살 전후부터 회백질이 얇아진다. 그 뒤에 공간 방향, 발성, 언어 발달에 관여하는
영역
의 변화가 따른다. 판단이나 의사결정 같은 고차원적 사고를 담당하는 부위는 10대 후반에 가서야 회백질이 얇아지기 시작한다.따라서 청소년은 감각정보를 받아들여 처리하는 능력은 성인과 차이가 없지만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