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장이 달팽이의 속도를 늦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잠시 후 그들의 앞발을 들어서 '너무 뜨겁다'는 반응을 했다. 옆에서 이 광경을 지켜본
연구진
은 시간별로 반응속도를 꼼꼼하게 기록했는데 어둠이 깔리면서부터 반응속도가 빨라지기 시작, 한밤중에는 최고속도를 기록했다. 물론 그 후에는 점차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그러나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미사일 개발은 페어차일드사 부상의 받침대가 되었다. 군산(軍產)복합체와 최고의 대학
연구진
이 더하여 탄생된 실리콘밸리는 미국자본주의가 빚어낸 최고의 작품이었다. 또한 자유로운 이직(30%)과 탄탄한 경쟁체제는 많은 기업을 도산시키기도 하지만 도리어 자체 시스템을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 ...
더 밝은 물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밝은 빛속에서만 찾고 있었던 것이다.그런데 2년전 어느 관찰연구의 마지막 밤이었다.
연구진
이 장비를 하나의 적외선 공급원에 정확히 맞추고 있다고 생각했었으나 다른 물체가 그들의 스펙트럼에 등장하는 바람에 적외선 공급원을 놓치는 일이 발생했다.이내 연구팀은 그 물체가 준성체임에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보면 판구조론과도 맞물리는 것일텐데요. 여기서 밝힐 수는 없는 내용인 것 같으니 전문
연구진
에게 과제를 넘기도록 하죠.박정웅 울릉도 주변해안에 관입 암맥(dike)이 굉장히 발달해 있다는 것도 특징입니다.사회 봉래폭포 근처에서 본 자연에어컨의 원리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김두석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운동을 하고 있다는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비슷한 시기에 라몬트연구소의
연구진
들은 이러한 개념에 신지구구조론 (New Global Tectonics)이라는 이름을 붙였고 후에 판구조론(Plate Tectonics)으로 수정했다. 그때부터 판구조론은 지구의 진화 과정과 현재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설명해 주는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연구비를 바탕으로 장기 생태연구 프로젝트가 1970년대부터 수행돼 오고 있다.
연구진
은 조지아대학과 플로리다대학의 연구인력으로 구성돼 있고, 환경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자 지리학자 지질학자 환경공학자 자원경제학자 등이 학제적인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많을수록 같은 지능지수(IQ)를 받기위해 필요한 점수를 더 낮게 책정해 주고 있다. 그러나
연구진
은 건강한 사람의 경우 나이가 들어도 테스트에서 받는 실제 점수는 젊은이들과 거의 같다는 것을 알아냈다. 나이에 따른 지능 테스트의 결과를 조정하는데 고려된 사람 속에는 질병으로 사고기능이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항체(abzyme 또는 catalytic antibody)가 캘리포니아의 스크립스(Scripps)연구소와 버클리대학
연구진
에 의해 개발됐다. 이와 같은 연구의 진전은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응고혈액의 용해, 암세포의 추적 및 파괴 등 의학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20세기 후반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고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약 60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미디어 연구소 이외에 어느 연구소가 얼마 안되는
연구진
을 가지고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다양한 스폰서의 지원을 받아 행하고 있겠는가.대학원생이 학문창조의 주역끝으로 미디어연구소를 생각할때 필자가 부러운 것이 두가지 있다. 환상적이라고 표현할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어쩌면 이 냄새유전자군이 포유류 DNA중 가장 긴 사슬로 이뤄졌을지도 모른다는 게
연구진
진단.우리의 눈은 오직 세가지 유형의 수용체로 만물의 색을 구별한다. 즉 적색수용체 녹색수용체 청색수용체를 적절히 활용해 수천가지의 색을 식별해내는 것이다. 물론 색을 인식하는 최종적인 장기는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