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MRI, 양자컴퓨터, 인공고기… 첨단기술 속 브릭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절연체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브릭의 절연력을 실험으로 측정했다. 브릭 4개를 수직으로 쌓은 다음 절대온도 4.5mK(밀리켈빈·1mK은 1000분의 1켈빈·0K은 -273.15℃) 수준까지 냉각했다. 이후 가장 위쪽 브릭을 가열하면서 맨 아래쪽 브릭의 온도 변화를 측정했다.측정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조절하는 ‘이노시톨 대사 효소’를 제거하면 공포 기억을 없앨 수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밝혔다.연구팀은 먼저 이노시톨 대사 효소가 없는 유전자 변형 쥐를 만들었다. 그 다음 강한 소리와 함께 전기 자극을 줘 쥐에게 공포 기억을 심었다. 쥐는 같은 소리만 들어도 공포감에 떨었다 ... ...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양자컴퓨터를 현실화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양자컴퓨터는 0과 1중 어느 하나로 확정되지 않는 정보를 가진 ‘큐비트’로 정보를 처리하는데, 지금까 ... 신뢰도를 정량화할 수 있도록 양자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물질을 제시하고 실험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한페이지 뉴스] 우리 몸의 엔진, 심장의 연료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관상정맥동과 노동맥, 대퇴정맥에서 277종의 세포 대사 산물을 비교했다.그 결과 피실험자 모두에게서 심장과 다리에서 사용하는 영양소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다리에서는 일반적으로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포도당이 주로 소비됐지만, 심장은 지방산을 주로 소비했다.다리와 심장에서 ... ...
-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농도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최성득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는 “실험 과정에서 페놀이 휘발되더라도 충분히 환기한다면 별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렇더라도 피부에 닿았다면 바로 흐르는 물로 씻어내야 합니다.준비가 다 되면 야광봉 속 물질을 모두 꺼내서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위성 발사 전 아무리 우주의 환경 조건을 고려해 계산했다고 해도, 우주를 그대로 본뜬 실험실을 만들어 수차례 테스트했다고 해도 지구인의 예상대로 따라주지 않는 게 우주이기 때문이다.박봉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이어 “혹시 계획대로 되지 않았을 때를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3개 전공 사이에서 엄청난 고민을 했다.그러던 중 박성훈 UNIST 화학공학과 교수님께 실험실을 빌리면서 전공에 대한 자문을 구했는데, 이때 박 교수님이 생명공학 분야로 창업할 때 관련 분야 학위가 없으면 신뢰를 얻기 힘들다는 조언을 했다. 그의 사려 깊은 조언을 듣고 나는 생명공학과로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NIAC 2단계에 선정된 ‘바이오봇’은 개발을 거쳐 미국의 나사 존슨 센터에서 작동 시연 실험을 거칠 예정이랍니다. ●인터뷰 “전파천문대 인턴을 하면서 발상의 씨앗을 키웠어요!” 셉타르시 반디요파디예(NASA 제트추진연구소 로봇 공학자) Q. 달 뒷면에 전파망원경을 세우면 어떤 이점이 ... ...
- 과학난제3. 불로장생의 삶,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치료 방법이기 때문에 부작용이나 재발할 위험이 없답니다. 조광현 교수팀은 지난 1월, 실험실에서 대장암 세포를 다시 정상세포로 회복시켰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어요. 정상세포로 돌아온 암세포는 이전의 대장 세포의 기능도 다시 갖췄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를 동물과 인간에게까지 ... ...
- [질문하면 대답해 ZOOM] 우주에서는 음식이 썩지 않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연구팀은 방사선에 강한 내성을 갖는 4가지 미생물을 ISS 바깥벽에 1년간 걸어 놓고 실험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그 결과 4종 중 3종이 여전히 살아남은 것을 확인했지요. 우주인들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우주에 오랜 시간 머무는데, 미생물 때문에 음식이 상하면 어쩌냐고요? 이런 위험을 막기 위해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