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뉴스페이퍼
신문지
일간지
일보
뉴스
페이퍼
저널
d라이브러리
"
신문
"(으)로 총 1,300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경과 콘텍트렌즈의 선택ㆍ취급요령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잘 골라 제대로 사용하려면…나날이 문명이 발달, TV가 안방극장으로 자리잡고
신문
잡지 도서 등이 확대일로에 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를 손수 운전하고 있다. 이를 안과의사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눈이 흑사당하고있는' 것이다.우리 인간들은 눈으로 약 90%의 생활정보를 얻고 있다. 특히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보이저2호가 1977년 8월20일 '케이프케너베럴'우주기지를 떠나 태양계탐사를 시작한 당시
신문
들을 보면 '1989년 8월24일 해왕성에 근접, 그 이후 우주방랑길에' 라는 제목이 눈에 띤다. 그로부터 12년이 지난 올 8월24일(한국시간 8월25일 오후 1시) 보이저2호는 계획대로 해왕성 북극점으로부터 약 4천 ... ...
10대의 성(性) PART1 성폭력의 분석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성폭력은 순간의 실수로 본인에게나 희생자에게나 엄청난 재난을 가져오게 된다. 최근
신문
이나 잡지를 읽을 때 빠지지 않고 눈에 띄는 것은 성폭력(강간)에 관한 기사다. 어떻게 보면 성폭력에 관한 기사는 너무 흔하여 늘 있을 수 있는 사건처럼 느껴질 정도로 우리의 신경이 둔해진 것 같다 ... ...
표준한글코드, 문제점은 없는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일상생활의 일부분으로서 컴퓨터를 쓰게 한다는데 이래도 되는 것인가?
신문
사에서도
신문
의 조판을 컴퓨터로 한다는데, 이렇게 글자수가 부족하면 컴퓨터가 모른다고 하는 글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글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등의 질문이 꼬리를 문다.아스키(ASCⅡ)코드컴퓨터는 글자를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엄청난 투자가 드는 이 일을 중소기업들에만 맡겨놓을 수는 없는 일이다. 국민전체의 정
신문
화를 좌우하는 한글을 아름답게 한다는 차원에서 정부는 적극적인 투자와 하계 및 연구소들의 연구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이에앞서 한글서체를 개발하는 일에 보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치 사회분야와 달리 북한의 과학기술분야에 대해서는 일간
신문
의 단편적인(그것도 주관적인 단신들) 보도 외에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리노력 역시 미흡하다. 이 글에서는 부족하나마 북한의 과학기술정책의 이론적 배경 및 연구현황, 교육 제도를 ... ...
한글인식시스템의 현단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란 긴 이름의 학술대외로 구체화되고 있다.한글인식에 관한 연구는 맹인들에게도 책과
신문
을 읽어 들여주는 컴퓨터시스템을 실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활자화된 인간의 지식을 컴퓨터가 스스로 이해하는 지능형 컴퓨터가 궁극적인 목표라고 말할 수 있다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표준셀 데이터베이스는 그것을 구축하는 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나 그것이 당장
신문
에 발표할 수 있는 제품으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정책적으로 그 중요성이 무시되어 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표준셀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다는 것은 출판사에 없는 활자가 있다는 것과 같은 경우이니 그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전라남도 영광에 곧 착공될 원전11·12호기에 대해 '기술자립도 80% ''안전설계 ''짜깁기 원자로 ''상업운전 경험이 없는 축소형 모델'등 찬반양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반핵운동가들로부터 '짜깁기 원자로'라는 별명을 얻는가 하면 전씨관련 5공비리의 하나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던 원자력발전소 11·1 ... ...
펭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건설하고 연구를 시작했다는 것은 반갑고 자랑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필자는
신문
지상을 통해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17번째로 남극대륙에 기지를 건설했다는 소식을 듣고 언젠가는 한번쯤 그곳을 다녀와야겠다고 결심을 하였다. 왜냐하면 그곳은 펭귄의 낙원이기 때문이다.펭귄은 생김새와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